핵수용체 ‘RORα’ 유전자 결핍쥐 염증반응 심화, 장 길이 감소, 천공 등 병리현상 악화
국내 연구팀이 장내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 황성순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의생명연구센터 교수,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박대찬 아주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핵수용체 ‘RORα’가 장내 염증반응 억제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장내 상피세포에서 RORα 유전자를 제거한 뒤 장내 염증반응을 유도했다. 그 결과 RORα 유전자 결핍 쥐는 정상 쥐보다 심한 염증반응, 장 길이 감소, 천공 등 심각한 병리적 현상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ORα의 염증 억제 기전은 특히 상처 부위가 회복되는 시점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 RORα 유전자 결핍 쥐는 상처 회복 시점에 염증 반응이 억제되지 않고 상처가 심해졌다.
연구팀은 유전자분석기술인 RNA 시퀀싱(RNA-sequencing)을 통해 RORα가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NFk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와 결합해 NFkB의 활동을 방해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기전도 밝혀냈다.
RORα는 장내 항상성을 위해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간내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퍼옥시좀증식체활성수용체감마)에 의해 매개되는 전사 과정을 억제함으로써 지질 항상성을 유유지한다.
황성순 교수는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등 염증성 장질환은 치료가 까다롭고 사회활동이 많은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해 사회적 손실이 크다”며 “이번 연구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RORα의 기전을 밝혀냄으로써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타깃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