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당근’으로 임플란트수술 후 저장기능 회복 정도 예측
  • 박정환 기자
  • 등록 2016-03-21 17:17:42
  • 수정 2016-05-22 16:56:10
기사수정
  • 김백일 연세대 교수, 주관적·객관적 평가법 적용 … 음식물 이용 주관적 평가, 9% 상승

임플란트수술 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백일 연세대 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입안 뒤쪽에 있는 큰 어금니가 상실돼 임플란트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2주후 저작(씹기)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연구팀이 2012년 9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치과병원에서 1개 또는 2개의 편측 큰 어금니를 상실해 임플란트수술을 받은 환자 54명(남성 22명, 여성 32명, 평균연령 51.6±12.3세)의 수술 전과 수술 2주후의 저작능력을 평가한 결과 주관적 평가법으로는 9%, 객관적인 평가법으로는 14.3% 향상됐다.
 
주관적인 평가법(Food Intake Ability test, FIA)은 환자에게 마른 오징어부터 두부까지 다양한 경도를 지닌 30가지 식품을 얼마나 씹을 수 있는지 직접 설문지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객관법(Mixing Ability Index, MAI)은 주사위 크기의 빨강과 녹색의 두 가지 색깔로 구성된 왁스큐브를 환자가 정해진 횟수만큼 씹게 한 뒤 색깔이 섞인 정도를 분석한다.

주관적 평가의 경우 임플란트수술 전 82.73이던 수치가 수술 후 90.16으로 7.43만큼 향상됐다. 객관적 평가에서도 수술 전 54.72에서 수술 후 62.54로 7.81 높아졌다.
이번 연구로 임플란트수술 후 2주밖에 되지 않는 짧은 기간에도 저작능력이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수술 후 2주는 불편감이 사라지면서 정상적으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는 시점이다.

또 주관적 측정방법을 이용해 경도별 식품 섭취능력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후 익히지 않은 생당근, 땅콩 같은 딱딱한 식품군을 접한 군은 저작능력이 10.8% 향상돼 가장 큰 변화폭을 보였다.
조리된 닭고기, 사과와 같은 중간 경도 수준의 식품군에서는 10.0%, 라면이나 두부 등 부드러운 식품군에서는 3.7%의 향상치를 나타냈다.

김백일 교수는 “편측 큰 어금니를 상실한 환자는 불편감 탓에 반대편으로만 씹으려는 습관이 생긴다”며 “이는 치아 및 구강 관련 근육의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통 임플란트수술로 저작기능 회복과 구강운동의 균형을 유도하는데, 지금까지 수술 성공 여부를 객관적인 수치로 평가한 연구는 없다”며 “이번 논문은 편측 큰 어금니 상실 환자를 대상으로 임플란트수술을 시행한 후 2주라는 짧은 기간 동안 저작능력 변화를 평가하고 수치화한 최초의 논문”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논문은 국제전문학술지인 ‘JPIS(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에 ‘임플란트 수복 후 단기간 내 저작기능의 향상(Short-term improvement of masticatory function after implant restoration)’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