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여성일수록 초고도비만율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전국 16개 시도 중 제주도의 초고도비만율이 가장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2~2013년 일반건강검진 빅데이터를 이용해 초고도비만율을 소득수준(의료급여 수급권자 및 건강보험료 기준)과 거주지역별 등으로 분석한 결과 체질량지수(BMI) 35㎏/㎡ 이상을 의미하는 초고도비만율은 2002년 0.17%에서 2013년 0.49%로 2.9배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소득수준별로 초고도비만율은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건강보험 가입자보다 높았다. 지난해 기준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초고도비만율은 1.23%(남성 0.87%, 여성 1.57%)였으며, 이는 건강보험 가입자 보험료 최상위군(보험료 상위 5%)의 0.35%보다 3.5배 높은 수치다.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여성의 초고도비만율은 1.57%로 남성의 0.87%보다 3.3배 높았다.
건강보험 가입자중 보험료 최하위군(보험료 하위 5% 기준)과 최상위군간 초고도비만율 격차는 2002년 0.12%에서 2013년 0.40%로 지속적으로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기준 거주지역별 초고도비만율은 제주도가 0.68%로 가장 높았으며 강원도가 0.62%, 인천광역시가 0.59%로 뒤를 이었다.
성별·지역별 초고도비만율은 제주도 남성이 0.75%로 가장 높았고, 울산광역시 남성이 0.38%로 가장 낮았다. 여성의 경우 강원도가 0.66%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광역시는 0.33%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오상우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저소득층에서 초고도비만율이 높은 이유는 채소·과일보다 패스트푸드(Fast food)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반면 운동에 대한 접근성은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며 “초고도비만은 심리적 위축 및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쳐 저소득층이 되는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예방 및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종대 건보공단 이사장은 “최근 건강서비스의 패러다임이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질병예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며 “그동안 축척된 데이터를 기초로 비만 예방 등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