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고지혈증’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74만6000명에서 2013년 128만8000명으로 늘어 연평균 11.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같은 기간 남성은 31만1000명에서 50만6000명으로 연평균 10.2%, 여성은 43만5000명에서 78만2000명으로 연평균 12.4% 증가했다.
고지혈증은 비만·유전적 원인·식습관·음주 등으로 인해 혈중 콜레스테롤(특히 LDL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수치가 정상보다 증가됐을 때 유발된다. 혈관 내에 찌꺼기가 끼면서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혈관 일부분이 좁아졌을 때에는 증세가 전혀 없고, 혈관이 완전히 막히면 협심증, 심근경색, 중풍 등 말초동맥질환 등 합병증이 나타난다. 환자가 ‘뭔가 이상하다’는 증상을 느끼는 시점이 합병증이 나타난 시기로 볼 수 있다.
전동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고지혈증은 혈액 속에 지방 성분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며 “일반적으로 총콜레스테롤이 240㎎/㎗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 이상인 경우”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고지혈증 환자는 당뇨병, 고혈압 등 성인병이 함께 발병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3년을 기준으로 성별·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남성은 60대(4797명), 50대(4042명), 70대(3880명) 순으로 많았다. 여성은 60대(1만241명)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컸고, 이어 50대(7550명)·70대(6971명)가 뒤를 이었다.
전 교수는 “60대는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인원이 2배 이상 많은 것은 고령일수록 지질대사가 감소하는데다 여성의 경우 폐경 등이 대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지혈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 1558억원에서 2013년 2114억원으로 늘었다. 공단이 부담하는 급여비는 같은 기간 1050억원에서 1423억원으로 증가했다.
의료기관 종별 진료인원은 상급종합병원은 연평균 2.7% 감소한 반면 다른 의료기관의 경우 6.1%~19.8%로 방문환자가 늘었다. 반면 2011년 대비 2013년엔 상급종합·종합병원을 방문한 사람은 각각 32.9%, 15.8%로 줄었으나 병·의원의 경우 각각 30.2%, 15.6%로 증가세를 보였다.
고지혈증을 개선하려면 무엇보다도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게 필수다. 전동운 교수는 “식이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체중조절, 복부비만 개선, 절주 등 비약물적인 습관 개선이 기본”이라며 “이를 교정했는데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스타틴제제 등을 활용한 적극적인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동맥경화성 혈관질환 고위험군일수록 초기부터 약물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