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환자의 약 절반이 20·30대 젊은층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들은 취업이나 육아 등 미래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강박장애에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9~2013년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바탕으로 ‘강박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2만1000명에서 2013년 약 2만4000명으로 5년새 3000명(13.1%) 증가했으며, 연평균 변화율은 3.1%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총진료비는 88억원에서 112억원으로 약 23억원(26.6%) 늘었으며, 연평균 변화율은 6.1%였다.
같은 기간 강박장애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57.7~58.2%, 여성은 41.8~42.3%였다. 평균 성비 1.4 정도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보다 많았다.
지난해 기준 진료인원의 연령별(10세 구간) 점유율은 20대가 24.0%로 가장 높았으며 30대가 21.2%, 40대가 16.3%로 뒤를 이었다. 20·30대 환자가 전체 진료인원의 45.2%로, 강박장애 환자 2명 중 1명은 젊은 층인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전 연령층에서는 남성 환자가, 30대 이후에서는 여성 환자가 더 많았다.
강박장애 증상은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사고나 나쁜 일이 생기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불안해하는 강박성 사고와, 손씻기·청소하기·헤아리기·검토하기 등 특정 행동을 여러번 반복하는 강박행위로 구분된다.
전체 강박장애 환자 3명 중 1명(31.6%)은 강박성 사고에 해당되는 ‘강박성 사고 또는 되새김’, 5.8%는 강박행위에 해당하는 ‘현저한 강박행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환자 5명 중 1명(19.2%)은 두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혼합형 강박성 사고와 행위’였다.
강박장애는 유전적 요인, 뇌의 기능 이상 등 생물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20·30대 젊은층에서 강박장애가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임신 및 출산 등의 스트레스 등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다. 이 중 약물치료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며, 환자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을 병용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