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변이로 당뇨병·치매 생기는 원인 규명
  • 박정환 기자
  • 등록 2013-03-04 18:18:04
  • 수정 2013-03-05 14:15:31
기사수정
  • 세포내 전사인자 RXRα 감소, 발현단백질 줄어 … 활성물질 처리하면 미토콘드리아 활성화

국내 연구진이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돌연변이’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핵심적인 신호전달경로를 규명했다. 박경수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 황대희 포항공대 교수, 이봉희·변경희 가천대 의대 교수팀은 유전자 3243 돌연변이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이 생기는 기전에 세포 내 전사인자인 ‘RXRα’(retinoid X receptor alpha)가 관여함을 밝히고 RXRα에 대한 활성물질 처리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회복됨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저명 전문 학술지인 ‘신호전달과학’(Science Signaling) 온라인판 2월 26일자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소기관으로 자체 DNA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의 발전소로서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은 당뇨병, 대사증후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퇴행성 질환 발생과 연관이 높다고 알려져 왔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3243 돌연변이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3243부위의 염기서열이 A에서 G로 돌연변이 되는 것으로 국내 당뇨병 환자의 약 1%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전적 이상이다. 그러나 이 변이로 당뇨병이 발병하는 자세한 기전은 물론 치료방법도 그동안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핵은 있으나 미토콘드리아 DNA가 없는 세포와 융합시킨 후, 이 융합세포의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미토콘드리아의 단백질 발현과 기능이 현저하게 감소했고 연구팀은 RXRα가 이러한 현상을 초래한 핵심적인 전사인자임을 밝혀졌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3243 돌연변이가 있는 융합세포에서는 세포 내 활성산소가 증가해 RXRα의 양이 50~75%까지 감소했다. 이에 따라 미토콘드리아의 단백질 발현이 줄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45~65%까지 감소했다.
또 연구팀은 RXRα 활성물질을 처리한 결과 RXRα와 또 다른 전사인자인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1)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며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약 40%정도 회복됨을 규명했다.

박경수 교수는 “이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돌연변이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이상이 생겼을 때 RXRα가 중요한 치료표적이 될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며 “앞으로 심화연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으로 발병하는 퇴행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