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p300’ 단백질, 조절T세포 생성 촉진해 과도한 면역반응 완화 … 알레르기 천식 치료 ‘열쇠’ 기대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1-17 09:28:19
기사수정
  • 연세대 의대, 동물실험 통해 확인 … GBP5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해 조절 T세포의 증식 억제

면역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p300 단백질이 알레르기 천식 치료에서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확인됐다.

 

손명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알레르기·천식센터 교수, 윤호근 연세대 의대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교수팀은 p300 단백질이 조절 T세포의 적절한 면역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알레르기 천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17일 밝혔다.

 

알레르기 천식은 인체가 외부 물질에 과도하게 면역반응을 일으킬 때 발생한다. 연구팀은 p300 단백질이 GBP5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면서, T세포 중 과잉 면역반응을 않게 하는 ‘조절’ T세포의 기능을 강화해 면역반응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천식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알레르기 천식을 앓으면서 p300 단백질이 결여된 마우스 모델을 통해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이 마우스 모델에서는 조절 T세포의 수뿐만 아니라 면역반응(과잉반응) 억제기능도 낮았고, 다른 세포의 면역 기능을 돕는 ‘도움 T세포’의 활동이 과도하게 활성화돼 기도 염증을 일으킴을 관찰했다.

 

이어 연구팀은 과정을 더 면밀히 확인하려 염색질 면역침강(ChIP)과 RNA 시퀀싱 분석을 진행했다. 염색질 면역침강은 p300 단백질이 어떤 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RNA 시퀀싱 분석은 영향 받은 세포 안에서 어떤 단백질이 커져 있는지를 보기 위함이다.

 

그 결과 p300 단백질이 바이러스나 세균 같은 외부물질에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데 도움을 주는 GBP5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해 T세포의 증식, 억제, 균형 유지에 영향을 미침을 규명했다. 

손명현 교수는 “p300 단백질이 GBP5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면서 조절 T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쳐 천식 악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p300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알레르기 천식 맞춤형 치료제 개발 방향성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호흡기중환자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IF=19.4) 최신호에 ‘p300-Dependent Modulation in Regulatory T Cells Plays a Crucial Role in Allergic Asthma’라는 논문으로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