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글로벌뉴스
美 로켓파마 ‘크레슬라디’ 중증 백혈구접착결핍증 유전자치료제로 신약승인신청 FDA 접수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0-15 08:21:55
기사수정
  • 2024년 6월에 CMC 미비로 승인 거절 … 유효성엔 문제 없는 듯 … 내년 3월말에 승인 여부 결정

미국 뉴저지주 크랜버리에 본사를 둔 희귀 유전자 치료제 개발 전문 생명공학기업 로켓 파마슈티컬스(Rocket Pharmaceuticals, 나스닥 RCKT)는 재제출한 ‘크레슬라디’(Kresladi: 마르네테그라진 오토템셀, 또는 마르네-셀: marnetegragene autotemcel or marne-cel, 개발코드명 RP-L201)의 신약승인신청 건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접수됐다고 14일(현지시각) 발표했다.

 

백혈구접착결핍증은 원발성 면역결핍 극희귀 상염색체 열성 소아질환으로 백혈구의 인테그린(integrin) 단백질인 CD18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변이로 발생한다. 백혈구가 혈관의 벽에 부착하지 못해 피부 세균감염 등에 취약해지고, 치유가 지연되며, 미성숙 백혈구가 과도하게 늘어나는 백혈구증가증을 보이게 된다. 치료제는 없으며 줄기세포(조혈모세포) 이식(골수이식)을 통해 치료하며, 이에 성공하지 못하면 대부분 5세 이전에 조기 사망하게 된다. 

 

크레슬라디는 렌티바이러스 벡터(LV) 기반 유전자 치료제로서 ITGB2(β2 integrin이 혈관에 부착하도록 돕는 유전자) 기능을 회복시킨 자가유래 조혈줄기세포를 렌티바이러스에 실어 투여하는 기전이다. 

 

처방약생산자수수료법(PDUFA)에 따라 FDA는 2026년 3월 28일까지 ‘크레슬라디’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크레슬라디는 2023년 10월 2일 FDA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됐다. 당시 2024년 3월 31일로 설정된 심사기한은 FDA의 화학‧제조‧품질관리(CMC) 정보 요청으로 같은 해 6월 30일로 연기된 바 있다. FDA는 자문위를 개최하지 않는다고 밝혀 유효성에는 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같은 해 6월 28일, FDA는 대응종결서신(CRL)을 통해 CMC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승인을 거부한다고 알렸다.  미국 로켓파마슈티컬스 로고 크레슬라디의 재차 신약승인신청은 9명의 줄기세포 기증자가 없거나 이식수술이 어려운 생후 3개월 이상(실제 12~24개월)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1/2상(NCT03812263)을 근거로 이뤄졌다.

 

2023년 5월에 발표된 임상결과에 따르면 크레슬라디 투약 후 3~24개월 관찰한 결과 치료 관련 심각한 부작용 없이 안정적인 CD18 발현(중앙값 56%)을 유지했으며 주입 후 12개월이 지난 7명은 100%의 전체생존율을 보고했다. 이후 시간이 더 흘러 9명 전원이 생존한 것으로 업그레이드됐다. 피부발진 등 감염 등으로 인한 입원 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피부 병변이나 감염에 의한 상처 복구능력도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는 등 1차, 2차 평가지표들이 모두 충족됐고 내약성도 양호했다. 약물치료 관련 중증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로켓파마슈티컬스의 CEO인 가우라브 샤(Gaurav Shah) 박사는 “신약승인신청 건이 접수됨에 따라 로켓파마슈티컬스가 중증 백혈구접착결핍증-I에 수반되는 파괴적인 영향에 직면한 환자들에게 단회(單會) 주입하는 유전자치료제를 선보이겠다는 목표를 이행하는 데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중증백혈구접착결핍증-I 환자들은 소아기를 넘어서서 생존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며 “현재 골수이식수술이 유일한 치료대안이지만 높은 이환률과 사망률, 비용부담 등의 문제인데다가 일부 환자에서는 적용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로켓파마슈티컬스가 크레슬라디 허가를 취득한다면 ‘소아 희귀질환 치료제 신속심사 바우처’(PRV) 1매를 지급받을 수 있는 권한까지 확보했다. 이 권리는 매매 가능하며 시가 1억달러안팎에 해당한다. 희귀소아신약의 신속한 심사를 지원하는 이 제도는 2026년 9월 30일자로 일몰될 예정이다. 그 전에 RPV를 받은 경우에는 이후에도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