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명승권 국립암센터 교수, 영양소 권장섭취량의 개념에 문제 제기 … 전면 재검토 필요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4-08-05 11:56:53
  • 수정 2024-08-14 10:41:18
기사수정
  • 기존 권장섭취량은 상위 97~98% 섭취량으로 설정돼 ‘과도한 양’ … 1940년대 영양결핍 상태 반영한 시대착오적 지표

명승권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대학원장(가정의학과 교수) 명승권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대학원장(가정의학과 교수)는 비타민C의 하루 권장섭취량이 영국이나 인도는 40mg, 우리나라와 일본은 100mg, 프랑스는 110㎎으로 나라마다 크게 차이가 나고전 세계적으로 비타민결핍이 대유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이 아니다며 잘못된 권장섭취량의 개념과 정의를 고쳐야 한다고 5일 주장했다. 

 

그는 기존 영양소 권장섭취량의 개념과 정의에 문제가 있으며새로운 개념 및 정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20246SCIE급 국제학술지 영양(Nutrition)’에 연구단신(short communication)으로 온라인 게재했다.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성의 약 75%, 여성의 83%가 비타민결핍으로 보고되고 있다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남아시아인의 68%, 유럽인의 40%가 비타민결핍으로 전 세계적으로 비타민결핍이 대유행하는 것처럼 보인다이는 비타민혈중 농도를 20ng/mL 기준으로 한 결과로일반 병의원에서는 이 기준을 30ng/mL로 높여 여성의 경우 90% 이상이 비타민결핍으로 진단받고비타민주사나 복용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명 교수는 비타민결핍이 전체 인구의 80~90% 이상을 차지한다는 통계는 지금으로부터 80여년 전인 1941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에서 개발된 권장섭취량의 잘못된 개념과 정의에 기인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영양결핍은 매우 흔해 미국의 군 징집병 중 25%가 현재 또는 과거에 영양결핍자였다미국 국방자문위원회는 미국국립과학한림원에 국방과 관련한 영양에 대한 조언을 요청했고군인들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적용되는 주요 영양소의 권장섭취량을 1941년에 만들었다문제는 이때 만들어진 권장섭취량의 개념과 정의가 정확하게 서술되지 않았고임상 연구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50여 명의 전문가들에게서 의견을 수렴해 비타민 등 주요 영양소별 권장섭취량을 정했다당시 권장섭취량은 건강의 최적 상태와 관련한 의학적 및 임상적으로 타당한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근거가 아닌 전문가들의 합의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 뒤로 여러 차례 개정이 되긴 했지만현재까지 권장섭취량을 특정 나이와 성별의 집단에서 거의 대부분의(97~98%) 건강한 사람들의 영양요구량을 충족시키는데 충분한 하루 평균 특정 영양소의 섭취량으로 정의하고 있다달리 표현하면건강한 사람들 100명이 있다면 특정 영양소의 섭취량이 낮은 사람부터 높은 사람까지 다양한데 가장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 상위 2.5%가 섭취하는 양을 권장섭취량으로 정했다는 것이다즉 현재의 권장섭취량은 극단적으로 과도한 양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권장섭취량에 상응하는 비타민D의 혈중농도인 20ng/mL(병의원에서는 30ng/mL) 이하인 경우를 비정상으로 정의했기 때문에적어도 80~90%가 비타민결핍 혹은 부족으로 잘못 분류된 것은 문제라는 게 명 교수의 지적이다.

 

대부분 건강한 사람들의 비타민혈중농도가 분포하는 구간은 12~20ng/mL인데 결핍이나 부족이라는 임상적 근거는 부족하며 연구가 필요하지만 오히려 정상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다일반적으로 비타민혈중 검사는 불필요하며 20ng/mL 미만이라도 비타민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마찬가지로영국과 인도에 사는 사람들은 우리나라보다 비타민섭취량이 적어 상위 2.5%의 비타민섭취량 40mg이 권장섭취량이 된 것이고우리나라 사람들은 상위 2.5%의 비타민섭취량이 100mg이기 때문에 권장섭취량이 2배 이상 많아지는 되는 기현상이 벌어졌다고 명 교수는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권장섭취량은 섭취량과 최적의 건강상태와는 상관없이 특정 인구집단별로 상위 2.5%의 극단적으로 과도한 섭취량에 기반한 것이다.

 

명 교수는 현재의 권장섭취량은 건강한 사람들 중 상위 2.5%의 섭취량으로 설정돼 과도하게 많은 양이라며 가급적 충분히 많은 양을 권장해야 했던 80여년 전 영양결핍이 흔한 시대에서는 틀리지 않았을지도 모르지만 이후 영양성분 섭취와 최적의 건강상태를 규명하는 타당한 역학적 연구방법론이 등장하면서 틀린 개념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코호트 연구라는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표본으로 삼은 연구 결과질병의 발생 및 사망률은 체질량지수(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비만도, kg/)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높아지고중간 정도인 경우가 가장 낮게 나와 이 구간을 표준체중으로 제시하고 있다권장섭취량도 코호트연구를 통해서 최적의 건강상태를 보이는 특정 영양소의 섭취량의 범위를 새롭게 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금까지 수십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발표된 권장섭취량 및 영양결핍 관련 연구는 잘못된 개념과 정의의 권장섭취량에 기반 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으며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게 명 교수의 주장이다그는 의학영양학역학보건학 등 영양과 관련한 모든 분야 전문가가 논의해 올바른 권장섭취량의 개념과 정의를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견해가 국제학술지에 출판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의학 및 영양 등 관련 학계에서 이슈가 될 전망이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