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경제력·최종학력 차이, 코로나로 인한 건강 불평등 악화시켰다
  • 김광학 기자
  • 등록 2022-10-27 10:08:42
  • 수정 2022-10-28 11:03:16
기사수정
  • 서울대병원, 코로나 전후 주관적 건강 및 사회경제적요인 간 연관강도 차이 규명

가계월수입이 낮거나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정신사회적 건강 불평등이 코로나 이전보다 코로나 발생 이후 더 악화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의 낮은 정신사회적 건강 악화에 영향력을 끼친 사회경제적 요인은 ‘가계월수입 및 최종학력’으로 코로나 이후 연관성이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윤영호 서울대병원 교수팀(윤제연 교수, 한림대 심진아 교수)이 2018년 및 2021년 성인 2,2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발생 전후, 주관적 건강 상태와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요인 간 연관강도의 차이를 규명한 대규모 연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지금껏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여 코로나 기간 동안 건강 불평등에 대한 경제적 요인의 차별적인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주관적 건강 상태와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요인 사이의 연관성의 강도를 코로나 발생 전후로 비교하여 주관적 건강 저하의 고위험군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팀은 국민의 연령 및 성별 분포를 반영하여 표본 추출한 성인 총 2,20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신체적(정상 체력) 건강 △정신적(스트레스 대처 및 기분 안전성) 건강 △사회적(사회 기능 및 대인관계) 건강 △영적(자원봉사 및 종교활동) 건강에 대해 2018년(1200명) 및 2021년(1000명)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설문 참여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상태를 질문한 결과 ‘건강 상태가 최고 또는 아주 좋다’고 평가한 응답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 정신적 건강(2018년 38.71%, 2021년 35.17%), 사회적 건강(2018년 42.48%, 2021년 33.28%)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설문 참여자들의 △사회경제적요인(최종학력, 가계월수입, 고용상태) △인구학적요인(성별, 나이, 결혼여부, 거주지역, 종교여부) 등의 항목에 대해 방문 설문을 조사한 후 2018년 및 2021년 이 항목의 분포 차이를 보정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했다. 우선 코로나 대유행 전후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건강 분포를 비교해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요인과 주관적 건강 상태 간 영향력(odds ratio; 오즈비) 크기의 차이를 분석했다. 오즈비는 집단 비교 시 특정 사건의 발생 가능성 차이가 유의미한지 그 정도를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분석 결과, 코로나 대유행 후 낮은 정신사회적 건강에 대한 영향력이 코로나 이전에 비해 증가한 사회경제적 요인은 ‘가계월수입(3천달러 미만)’와 ‘최종학력(고졸 이하)’으로 확인됐다. 


월 430만원(3천달러) 미만 가계월수입이 불충분한 ‘정신적 건강’에 대한 영향력은 약 1.8배(2018년)에서 약 2.4배(2021년)로 코로나 이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 430만원(3천달러) 미만 가계월수입이 불충분한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1.7배(2018년)에서 약 2.5배(2021년)로 마찬가지로 코로나 이후 증가했다. 가계월수입과의 연관성 증가 외에도 고등학교 졸업 또는 그 이하의 최종학력이 불충분한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약 2.3배(2018년)에서 약 2.6배(2021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가계월수입이 낮거나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정신적·사회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 건강 악화 위험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 더 강해진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윤제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제1저자)는 “코로나 대유행은 사람들의 일상생활뿐 아니라 건강상태 및 경제적 안전성의 유지에 큰 위협을 가져왔다”며 “이번 연구를 계기로 코로나 이후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국민의 정신사회적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등이 시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영호 가정의학과 교수(교신저자)는 “경제적 격차로 인한 건강 불평등이 코로나 위기로 인해 더 악화할 것이라는 국민과 기업들의 우려가 실제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며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건강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우선적으로 재정적 및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BMC 공공보건(BMC Public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윤영호 가정의학과 교수, 윤제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심진아 한림대 인공지능융합학부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