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반응이 떨어지는 거세저항전립선암 환자에게 시행하는 PSMA 표적치료를 위한 표적 진단체와 치료제의 상용화가 이뤄질 전망이다. 곽철·정창욱 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강건욱 핵의학과 교수팀은 바이오 벤처기업 셀비온과 함께 PSMA 표적 진단제 ‘PSMA-NGUL’와 치료제 ‘PSMA-DGUL’ 상용화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
서울대병원은 진단용 의약품과 치료제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고 기술을 이전 받은 셀비온이 임상용 신약을 생산해 비임상시험까지 마쳤다. 현재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치료제인 ‘PSMA-DGUL’은 올해 4월초 식약처 인허가를 위한 1/2상 임상시험을 개시했다. 이전 동물 실험에서 외국에서 기존에 사용중인 치료제 ‘PSMA-617’보다 치료효과가 더 좋았다. 분자구조가 더욱 단순해 타 장기에서의 체외 배출 속도가 빠르고 부작용도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진단제 ‘PSMA-NGUL’은 1상을 조기에 마치고 2/3상 다기관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경쟁 진단제인 PSMA-11보다 진단 성능이 더욱 우수했다. 양자를 비교한 다른 연구에서 PSMA-NGUL을 주입한 환자들은 신장, 침샘 등 타 장기에서는 흡수율이 낮은 반면 병변에서의 흡수율이 높았다. 즉 영상에서 색이 진하게 나타나 확실하게 전립선암을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PSMA 표적 진단제와 치료제는 방사선 의약품을 활용해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하는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Therapy(치료) + Diagnostics(진단))를 달성할 수 있다. 진단과 동시에 특정 부위에만 치료를 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환자에게도 유용하다.
강건욱 교수는 “기존에는 진단 시 불소 등을 활용하고 치료는 PSMA-617을 이용하는 등 진단과 치료가 불일치했다”며 “이 기술은 진단과 치료에서 동일 계열 표지자를 활용해 진정한 테라노스틱스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곽철 교수는 “현재 거세저항전립선 환자 다수가 외국에 나가 PSMA 치료를 받고 있다”며 “이제는 국내에서 보다 우수한 기술로 PSMA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핵의학회 저널(Journal of Nuclear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