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발·전이 잘 되는 고령 위암 수술 중 정밀도 높은 림프절 절제술
- 암 절제수술에는 부득히하게 인접한 림프절을 절제하게 된다. 고령화사회로 위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수술에 대한 부담감으로 환자가 수술 시기를 미루...
- 2025-05-14
-
- 연동건 경희대 교수팀, 대상포진 백신의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 세계 최초 규명
- 연동건 경희대 의대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대상포진 생백신 접종이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대상포진은 어린 시절 감염된 ‘수두바이러...
- 2025-05-14
-
- 노인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 시술 없이 주사만으로 치료 효과 증명
- 노년층에서는 뼈가 약해져 작은 충격에도 골절을 입기 쉽다. 노인 골절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활동량을 줄여 다른 순환기·호흡기 합병...
- 2025-05-14
-
- 아주대병원, 의미변이원발진행실어증(svPPA)의 새로운 유전적 원인 제시
- 이선민·문소영 아주대병원 신경과 교수팀(김영은 한양대병원, 김은주 부산대병원 신경과 교수)은 단어의 의미를 상실하는 희귀 퇴행성 뇌질환인 의미변...
- 2025-05-14
-
- 순천향대 부천·천안병원, 아시아 최초 ‘위암-린치증후군 연관성’ 입증
- 최윤영 순천향대 부천병원 외과, 윤종혁·송금종·이문수 천안병원 외과 교수팀은 ‘린치증후군’이라는 유전적 요인이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
- 2025-05-13
-
- 복강경 대장암 수술 후 6.4주 지나면 삶의 질 회복해
- 오흥권 분당서울대병원, 이태균 아주대병원 외과 교수팀이 복강경 대장암 수술 후 회복 경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
- 2025-05-12
-
- 국내 최초 줄기세포 활용 3D 연골 세포치료제 골관절염 치료 성공
- 주지현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첨단세포치료사업단 교수(가톨릭대 의대 유도만능줄기세포 응용연구소장,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임예리 응...
- 2025-05-12
-
- 송영신 보라매병원 교수팀, 예후 가장 나쁜 ‘역형성 갑상선암’ 정밀치료 실마리 찾다
- 송영신 서울시 보라매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팀이 예후가 가장 나쁜 갑상선암으로 알려진 역형성 갑상선암(Anaplastic Thyroid Cancer, ATC) 환자 74명을 포함, 총 163...
- 2025-05-12
-
- 차세대 KRAS G12C 표적치료제 1상 결과 발표 … 기존 치료제 대비 효과 2배
- 조병철, 임선민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팀이 차세대 KRAS G12C 표적치료제인 ‘D3S-001’ 1상 임상 결과 비소세포폐암, 대장암, 췌장암 등 고형암 환자가 ...
- 2025-05-12
-
- 뇌질환 인지기능 저하 환자, 두개골 손상돼도 ‘전자약’ 치료 가능성 확인
- 전자약의 일종인 ‘경두개직류자극’으로 두개골이 손상된 환자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신경조절치료로 사용되는 경두개직류자극(tD...
- 2025-05-12
-
- 유방촬영 AI, 유방절제술 후 반대측 유방의 2차암 진단에 높은 민감도 입증
- 한쪽 가슴에 유방암이 생기면 수술 후에도 반대쪽에서 2차암 발생 위험이 높다. 한쪽 유방절제술 후 반대쪽 유방촬영 판독 성적에서 AI 소프트웨어가 전문의보...
- 2025-05-09
-
- 광간섭단층촬영(CT)과 형광수명영상(FLIm) 결합 ‘심혈관 융합영상 원천기술’ 개발
- 김진원·강동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교수, 유홍기·남형수 KAIST 기계공학화 교수, 김선원 고려대 안산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이 ‘광간섭 ...
- 2025-05-09
-
- 정의조차 없던 만성 특발성 후비루, ‘독립 임상질환’으로 인정해야
- 뚜렷한 원인 없이 코 뒤로 분비물이 넘어가는 증상에 시달리던 만성 특발성 후비루(Chronic Idiopathic Postnasal Drip)를 간과하지 말고 새로운 질병으로 주목하고 그...
- 2025-05-08
-
- 심부전 주요원인 ‘심근병증’의 세분화된 병리에 따라 유전자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려
- 심부전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심근병증’은 심장근육 자체가 약해지거나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심장이 몸에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숨이 차...
- 2025-05-08
-
- 아시아 최대 소아 염증성 장질환 연구 착수, 정밀의학 기반 맞춤형 치료 지향
- CARE-KIDS 코호트는 국내 주요 20여 개 대학병원 의료진의 참여로 소아 염증성 장질환 치료 성과를 추적하며 맞춤형 치료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22년부...
- 2025-05-07
-
- 국립암센터, BRCA 유전자변이 암 치료 반응 예측할 핵심 단백질 규명
- 국립암센터는 브라카(Breast Cancer gene, BRCA) 유전자 변이를 가진 유방암 및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표적항암제인 파프(PARP) 억제제의 항암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 2025-05-07
-
- 여럿이 자는 환경에서도, ‘내 숨소리’로 수면 상태 분석
- 윤인영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김정훈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홍준기 에이슬립 CTO 연구팀과 공동으로 ‘여럿이 함께 수면하는 환경에서도 각 ...
- 2025-05-07
-
- 돌발성난청 등 급성귀질환에 고실내 스테로이드 주사 약물전달력 최대화 조건 규명
- 박시내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한재상 은평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돌발성 난청과 같은 급성귀 질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실 내 스테로이드 주...
-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