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성수 고려대 교수, 위암 예방에 미치는 139개 식이·생활습관 요인 영향 규명
-
장내 미생물(Alistipes onderdonkii)로 방사선치료 부작용 줄인다
-
EGFR 및 TP53 변이에 내성 보이는 항암제 저항성엔 새로운 맞춤형 전략 필요
-
장 조직 내 미생물-인간 유전자 동시 분석해 소아 회장 크론병 예후 예측 기술 개발
-
김치 유래 프로바이오틱스로 만든 차세대 EGF, 화장품 원료 가능성 확인
-
환자 골밀도·대사질환 등 개별 특성 고려한 무릎 골관절염 유형별 맞춤치료 방향 제시
-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국내 최초 600번째 폐이식 성공
-
‘난치병 극복을 위한 기초융합연구의 도전’ … CAR-T, 줄기세포, 나노약물, 인공지능에 답이 있다
-
‘식품 불안정’ 심화될수록 심혈관 건강 저하 … 흡연 유발·고혈압에 가장 큰 악영향
-
삼성서울병원, ‘심박출량 보전 심부전’ 쉽고 간편하게 진단하는 AI 모델 개발
-
대형 뇌전이암,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로도 치료 가능
-
국립암센터, 첨단 ‘로봇 기관지내시경’ 첫 임상 적용 성공
-
이식받은 신장의 기능저하엔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법 효과적
-
세포질세망(ER)과 세포내 소기관 간 상호작용의 이상이 신장질환 진행에 영향
-
심장 스텐트 시술 환자, 고위험군도 ‘기존 강도의 약물치료’로 충분하고 안전
-
오세진 보라매병원 교수팀, 복부대동맥류 면역세포 분석으로 치료 실마리 찾아
-
모유 수유, 사춘기 전 비만과 중추성 성조숙증의 발병 위험 낮춰
-
당뇨병‧빈혈‧폐질환‧위궤양 동반 여성 환자, ‘무증상 단백이상’ 진단 시 혈액암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