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다가온 꽃게철, 한의학으로 본 가을 ‘간장·양념게장’
  • 김지예 기자
  • 등록 2020-10-07 19:44:37
  • 수정 2020-10-11 18:04:18
기사수정
  • 가을철 음허 증상 및 소화불량·생리통 등에 효과 … 나트륨 함량 높아 섭취량 조절 필요, 식중독도 주의
게장은 체질과 관계없이 기호에 따라 즐겨도 무방한 음식이지만, 나트륨을 많이 포함해 많이 섭취하면 각종 성인병을 부를 수 있다.
9~11월은 연간 꽃게 어획량의 절반 이상이 수확되는 가을 꽃게철이다. 산란기 이후 가을 꽃게는 맛이 좋고 영양도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국, 탕, 찜 등 다양한 꽃게 음식 가운데서도 단연 인기 메뉴는 ‘간장게장’과 ‘양념게장’이다. 간장 혹은 양념을 흠뻑 먹은 말랑한 게살은 ‘밥도둑’이라는 별명이 붙었을 만큼 인기가 매우 높다. 게장의 인기는 국내를 넘어 이웃나라 일본까지 미쳐 게장 전문 외식 프랜차이즈가 생겼을 정도다. 한방학적으로는 어혈을 풀고 소화를 돕는 기능이 있다. 게장의 효능을 알아본다.
 
꽃게는 한의학적으로 차가운 성질을 가져 몸에 쌓인 열을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을과 겨울철 건조한 날씨로 인해 체내 음기가 부족해지면 얼굴, 손, 발 등에서 허열이 나고 입안이 자주 건조해지는 등 ‘음허(陰虛)’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또 어혈(피가 제대로 돌지 못해 뭉쳐있는 현상)을 푸는 데 도움을 줘 기혈이 원활히 순환하도록 하며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다. 이에 예부터 꽃게는 소화불량 및 복통, 생리통, 숙취 등의 치료에 활용돼왔다.
 
영양학적으로도 비타민 A·B와 함께 칼슘 등 무기질이 매우 풍부하다. 단백질 비중이 높고 지방은 적어 소화에 용이하다. 꽃게에 함유된 타우린과 키토산은 혈관 건강과 소화기관의 활동성을 높이는 데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게장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간장게장과 양념게장은 한의학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두 음식은 맛과 조리법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익히지 않은 게에 다양한 재료로 맛을 낸다는 점에서 동일한 성격을 지닌다.
 
간장게장은 간장의 주 원료인 콩과 소금이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간장과 함께 들어가는 고추, 마늘, 생강 등 재료도 찬 꽃게의 성질을 중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양념게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게를 양념에 무치기 전 잠시 간장에 담가 밑간 및 살균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통해 찬 성질이 약간이나마 중화된다. 부재료도 고춧가루, 다진 마늘, 간장, 설탕 등으로 간장게장과 유사하다.
 
강만호 자생한방병원 원장은 “간장게장과 양념게장은 전혀 다른 음식처럼 보여도 성질과 효능이 비슷한 형제 음식”이라며 “가을철 급변한 날씨로 인한 열감, 빈혈, 소화불량 등 증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게장은 체질과 관계없이 기호에 따라 즐겨도 무방한 음식이지만, 과하게 즐길 경우 몸에 탈이 날 수 있다. 가을은 높은 일교차로 인해 음식이 상하거나 식중독 균이 증식하기 쉬워 수산물을 조리·보관할 때 주의가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식중독 발생 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 31%의 환자가 여름철(6~8월)에 발생했으며 이에 못지 않게 가을철(9~11월)에도 26%의 환자가 집중됐다.
 
또 게장은 나트륨 함유량이 높아 많이 섭취하면 고혈압, 뇌졸중 등 성인병을 부를 수 있다. 간이 센 게장을 많이 먹으면 자연스레 탄수화물인 쌀밥의 섭취도 늘어나 과식에 따른 비만과 배탈을 야기할 염려도 있다.
 
강만호 원장은 “가열하지 않는 게장의 특성상 갖가지 기생충이나 세균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장의 냄새가 비리거나 의심이 된다면 되도록 먹지 않는 게 현명하다”며 “겨울을 준비하는 동안에 적절하게 게장을 즐겨 떨어진 입맛을 돋우고 건강을 관리하자”고 조언했다.

강만호 자생한방병원 원장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