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장애는 턱관절 염증 혹은 탈구로 통증이 동반되고 입을 벌리는 게 힘들어지는 상태다.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가장 흔한 것은 잘못된 저작습관과 불균형한 자세다. 박혜지 강동경희대 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의 도움말로 턱관절장애의 원인과 대처법을 알아본다.
턱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 사이에 관절원판이 있고, 인대와 근육이 그 주변을 둘러싼 구조다. 턱관절에 염증이 생기거나 아래턱뼈 구조물중 하나인 하악과두의 탈구 등으로 통증이 생긴 것을 턱관절장애라고 한다.
보통 음식을 씹거나 말을 할 때 미세한 통증으로 시작해, 점점 입을 크게 벌리기 어렵고 딱딱한 음식을 먹을 때 통증이 심해지게 된다. 통증은 일반적으로 턱·귀·머리 부위에서 나타나며, 증상이 심해지면 치아의 맞물림이 틀어지고 안면비대칭을 야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입을 끝까지 못 벌리는 개구제한 상태가 지속되며 턱을 움직일 때 모래 갈리는 소리가 나타기도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턱관절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2015년 35만7877명에서 2019년 41만8904명으로 5년 사이에 17%가량 늘어났다. 20~30대 환자가 43%로 가장 많았고, 여성 환자는 남성의 1.5배에 달한다.
박혜지 교수는 “20~30대 젊은 환자는 저작근의 근력이 높아 턱관절에 힘을 더 주게 된다”며 “취업과 직장 스트레스도 젊은층의 턱관절장애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한다”고 말했다.
턱관절장애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많은 원인은 구강의 이상기능 습관이다. 예컨데 이 악물기, 이갈이, 입술 깨물기 등이다. 거북목 상태에서 작업하거나, 수화기를 어깨에 받히고 전화하는 등 자세 불균형 습관도 근육과 관절을 압박해서 턱관절장애를 유발한다.
턱관절장애를 장기간 방치하면 턱관절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두통, 이명, 신경통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하면 뼈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해 부정교합이나 안면 비대칭이 발생한다. 오래 방치할수록 만성 상태로 이환되기 때문에 되도록 빨리 치료해야 한다.
턱관절장애 진단을 받으면 비수술적인 치료가 우선 진행된다. 증상 초기라면 나쁜 습관을 교정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증상 호전을 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교합안정장치치료, 물리치료, 보톡스치료,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 보존치료가 시행될 수 있다. 발생 원인이 다양한 만큼 전문의의 판단이 중요하다. 장시간 방치하면 치료가 복잡해지고 소요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턱관절장애 의심 증상
△ 하품하거나 입을 크게 벌릴 때, 귀 앞부분이 아프다.
△ 턱이 빠져서 입이 안 다물어 진 적이 있다.
△ 입을 벌릴 때마다 무언가에 걸리는 느낌이 들고, 입도 잘 안 벌어진다.
△ 음식을 먹을 때나 노래하려고 크게 벌리면 턱이 불편하고 아프다.
△ 입을 크게 벌리고 다물 때 귀 근처에서 소리가 난다.
※ 하나 이상 해당하면 의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