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근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 3D 바이오프린팅·전기방사법 활용 … 물리적 강도 인체조직과 유사
대체 치료법이 없는 기관 협착과 결손 환자에게 즉시 이식 가능한 기관 재협착 방지용 ‘3D 튜브형 인공기관’이 개발됐다. 권성근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인체 조직재생의 가장 큰 장애물이었던 기관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기관을 개발해 전임상시험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지금까지 기관을 대체하는 인공장치를 제작해 이식을 시도한 연구는 많았지만 문합 부위에 재협착이 발생하거나 인공 장치의 물리적 강도가 부적합해 기도 확보 및 재생에 실패했다.
권 교수팀은 생체적합 생분해성 소재에 3D 바이오프린팅 기술과 전기방사법을 적용해 3D 튜브형 인공기관을 만들었다. 물리적 강도가 기관 조직과 유사하면서 기관조직 재생에 도움이 되는 약물을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이번 개발로 기관 내 점막이 재생돼 객담 배출 등 기도 점막의 기능까지 복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권성근 교수는 “문합부 재협착을 예방하는 약물을 탑재한 인공기관 지지체의 제작이 가능해졌다”며 “난치성 질환인 기관 협착 및 결손 해결 가능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나노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Nanoscale)’ 2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