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바이오기업 IPO 속도 빨라져 … 불확실성 해소 전략 세워야
  • 손세준 기자
  • 등록 2018-10-22 12:27:07
  • 수정 2020-09-17 00:12:19
기사수정
  • 연구개발비 확보 위한 상장준비 기업 급증 … 기업가치 향상 로드맵·혁신전략 필요


최근 바이오기업의 기업공개((Initial Public Offering, IPO)가 속도를 내면서 임상 초기 단계부터 상장을 준비하는기업이 늘고 있다. 바이오 업계의 위상 강화와 회계처리 논란 등 불안정성이 해소되면서 주춤했던 투자심리가 회복되고 연구개발 비용을 충당해야하는 기업의 수요가 맞아떨어진 때문으로 분석된다.

상장을 준비하는 곳 대부분이 중소 벤처기업으로 별도의 수익사업이 없는 경우 임상시험 등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연구개발비를 충당하기 위해 IPO를 준비한다. 신약개발 등 확률이 매우 낮지만 성공하면 큰 수익을 내는 고위험 고수익의 업종 특성상 IPO의 증가가 시장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는 시각도 많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바이오 분야 벤처투자는 전체 비중 대비 2011년도 7.4%에서 2016년도 21.8%으로 크게 증가했다. 업계는 2005년 도입된 기술특례상장제도가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 2005년 이전엔 상장기업은 무조건 수익을 내야하는 조항이 있어 바이오기업은 상장이 어려웠다. 이에 기술력을 갖춘 기업을 위한 특례조항을 둬 기술특례인증을 받은 기업은 상장할 수 있게 제도를 개선했고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큰 수익을 올리며 바이오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17년까지 총 35개 기업이 7382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으며 바이오투자 바람을 타고 시가총액 1조원이 넘는 작은 거인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에이치엘비, 바이로메드 등이 대표적이다.

상장은 크게 기술평가특례상장·성장성특례상장·코넥스상장 후 이전상장·SPAC(특수목적회사,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합병 등 4가지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각 기업은 상황에 맞는 방법을 찾아 IPO를 준비하고 있다.

이 중 기술평가특례상장은 총 11개 기술평가기관 중 2개 기관으로부터 A 또는 BBB등급 이상을 받으면 상장예비심사 청구 자격을 얻는다. 하지만 평가기관의 바이오기술 전문성이 떨어지고 기관별 평가결과의 편차가 커 지난해부터 상장 건수가 감소하는 추세다. 이 제도를 활용하려는 기업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보완해 등장한 성장성특례상장은 지난해 도입된 이 제도는 상장주선인과 주관사가 성장성 있는 신규기업을 평가 및 추천하는 방식이다. 주관사가 공모에 참여한 소액주주 보호를 위해 6개월 후 공모가의 90% 수준으로 되사들이는 풋백옵션으로 제공해 비교적 안전하며 후보기업에 대해 성장성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지난 9월 이 제도를 활용한 샐리버리는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아직 임상단계에 진입하지 못했으나 단백질을 세포에 투입하는 치료 기술인 ‘TSDT’를 통해 성장성을 인정받은 사례다.

코넥스 상장 후 코스닥 이전을 준비하는 사례는 패스트트랙 제도를 활용하기 위한 경우가 많다. 우수한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수요 증가로 최소한의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이 상장된다. 이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로 상장 1년이 경과하면 코스닥시장에 대한 상장특례 기회를 부여한다. 아이진, 퓨처켐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코넥스 상장을 통해 기업내부 정비 등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코스닥 증권시장과 동일한 회계기준과 유상증자 절차를 적용받아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부딪히기도 한다.

SPAC 합병은 증권사가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명목회사(Paper Company)를 세우고 비상장회사 중 합병할 회사를 물색해 상장을 담보로 투자하는 방식이다. 3년 내에 합병에 성공하면 명목회사는 소멸되고 합병회사는 상장사로 전환한다. 합병에 실패하면 상장폐지된다. 투자금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합병비용이 발생하고, 증권사에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자칫 손실이 나는 점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코스닥 IPO 진입장벽이 완화되고 상장주관사의 업체 유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바이오기업의 주식시장 진출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상장된 바이오주는 다수가 대세론에 따라 급상승했다가 정치경제적인 외부요인과 회계처리, 주가조작 같은 내부요인에 따라 급등락을 거듭했다. 일각에선 상장된 기업 중 임상시험을 넘어 개발을 마친 사례는 극히 드물고 가능성과 기대감에 의존해 기업가치가 결정되는 특성상 개발초기 단계 기업의 IPO 증가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는 측면이 많다고 경고한다.

이런 부정적인 시각을 해소하기 위해 기업은 상장이 목표가 아니라 상장 이후에 어떻게 가능성과 가치를 증명해보일 것인지 고민하고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임상초기 단계의 기술력있는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자유로운 투자를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불확실성 확대라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 기준과 기업의 혁신 노력이 동반돼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는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는 부분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기술력과 가능성을 갖춘 기업이 기술이전, 공동연구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있다”며  “IPO를 통해 투자자와 기업이 서로 윈윈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