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일본뇌염 세포배양 사백신 사태, 과연 큰 문제일까
  • 현정석 기자
  • 등록 2015-06-05 20:01:29
  • 수정 2021-06-29 01:12:52
기사수정
  • 열악한 임상환경에서 오해 커져 … 포털의 기사 카테고리 분류도 파장 증폭

최근 양승조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실에서 원숭이 신장세포배양 일본뇌염 사백신 도입 과정에 윤리적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골자는 질병관리본부 산하 예방접종심의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이환종 서울대 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당시 이 백신의 임상시험 책임자로 적극적으로 특정 제품을 밀어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한 것이다. 이 백신은 조달청을 통해 올해 처음으로 소아 국가필수예방접종(NIP) 프로그램에 따라 일선 보건소 등에 보급돼 있다.


한데 양 의원의 지적에 몇가지 결점이 드러난다. 먼저 국내 백신 임상시험은 실질적으로 어렵다. 백신은 대학병원보다 개원가에서 훨씬 많이 접종한다. 하지만 개원가가 임상을 진행하면서 의학적 자료를 면밀히 정리하고 윤리적 문제를 검토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대학병원은 임상윤리위원회(IRB)를 두고 문제점이 없나 확인하는 등 임상을 진행함에 있어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있다. 반면 대학병원 한 군데서 진행할 수 있는 환자의 수로는 적정 인원을 확보하기 어려워 여러 대학병원들이 동시에 진행한다. 일본뇌염 사백신에 대한 임상도 S대 병원을 포함한 10개 대학병원에서 진행됐다.

 

소아 대상 백신 임상시험에서 실질적으로 구심점이 돼 임상시험 전 과정을 관리하고 주도할 인물은 실질적인 인물은 이환종 교수와 홍영진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두 사람밖에 없다는 게 관련 의학계 및 제약사의 인식이다.


때문에 최근 수년간 예방접종심의위원장은 이들 두 교수가 번갈아 맡고 있다. 일본뇌염 사백신 심사허가 당시 홍 교수는 안식년을 맞아 임상은 진행했지만 위원장을 맡기 어려웠다. 이런 배경설명 없이 이 교수의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 것은 우리나라의 백신 임상 현실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원숭이 신장세포배양 일본뇌염 사백신은 기존 ‘쥐 뇌세포 유래 일본뇌염 사백신’의 가장 큰 문제였던 중증 부작용 발현(급성파종뇌척수염)에 있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의한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쥐 뇌세포 유래 사백신은 일본에서 2005년 접종을 중단했다. 중단 이유는 중추신경계 이상반응 때문인데 일본의 경우 100만명당 한 명의 이상반응이 보고됐었다. 기존 사백신은 전세계에서 한국, 대만, 태국, 베트남만 접종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이나 유럽 등에서는 원숭이신장세포 유래 백신을 사용하고 있다.


일본뇌염백신의 경우 위험성이 극히 낮아 A형간염백신과 비슷한 정도로 보고된다. 이번에 진행된 신장세포 배양 사백신 임상은 총 2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확률적으로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긴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205명은 표본수가 적은 게 사실이나 국내 대학병원의 여건상 불가피하다는 게 의학계와 질병관리본부의 공통된 견해다.

 

게다가 포털사이트에서 문제가 제기된 ‘(신장)세포배양 일본뇌염 사백신’란 키워드로 검색할 경우 양 의원의 지적 내용과 함께 양 의원이 제기한 국내 제약사의 모 제품 대신 전혀 다른 제품인 한 다국적제약사의 ‘세포배양 일본뇌염 생백신’ 출시 소식이 마치 관련기사인 것처럼 한 카테고리로 묶여지는 해프닝이 빚어졌다.

 
공교롭게도 양승조 의원이 보도자료를 낸 날에 다국적사가 세포배양 일본뇌염 생백신 출시 기자간담회를 가진 탓이다. 이 때문에 해당 다국적사가 불의의 일격을 당했다. 양 의원이 지적하려던 문제의 백신이 다국적사 제품인 것처럼 오해를 받게 된 것이다.

 

의도적이든 미필적고의든 양 의원의 문제 제기로 이득을 본 회사는 기존의 쥐 뇌조직 유래 일본뇌염 사백신을 만든 곳이다. 이런 문제 제기로 조달청에 납품된 백신이야 접종은 되겠지만 일부 국민들의 불신을 사 접종이 거부당할 처지에 놓이게 됐다. 그럴 경우 공급량이 전부 소진되지 않아 내년도 조달청 정부구매 리스트에 다시 올라갈 수 있을지 해당 제약사는 전전긍긍하고 있다.

 

소아백신 접종에 관한 한 사소한 루머조차도 부모들은 크게 걱정한다. 책임과 권위를 가진 사람이 백신에 관한 문제점을 지적하려면 그 파장을 고려해 배경을 면밀히 분석해 균형감각을 가져야 분란이 없다. 보건당국도 말썽에 휘말리는 것을 극구 회피만 할 게 아니라 상세하고 공식적인 정보와 지침을 공개해 소비자 불신을 해소시킬 의무가 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