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장기이식센터 3곳 중 2곳, 신장이식 대기자 관리 미흡
  • 정종호 기자
  • 등록 2013-08-26 16:15:08
  • 수정 2013-08-28 11:53:16
기사수정
  • 대기자 중 암환자 63%, 심장질환자 17%만이 정기검진으로 건강관리 이뤄져

양재석 서울대병원 장기이식센터 교수

국내 장기이식센터 3곳 중 2곳은 신장이식 대기자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은 최근 전국 35개 장기이식센터를 조사한 결과 35%만이 신장이식 대기자를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고 있었고, 암이나 심장병과 같은 합병증에 대해서는 각각 63%와 17%만이 검진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신장이식 대기자는 심장질환, 감염, 암 등의 발생률이 일반인보다 높다. 최근에는 대기자 중 당뇨병 환자와 고령 환자가 늘고 있어 여러 합병증에 대해서 더욱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서는 신장이식 대기자에 비해 뇌사 기증자가 부족해 이식을 받으려면 평균 4~5년을 기다려야 한다. 이 기간 동안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대기자가 많다. 이식 받을 순서가 와도 관리 부주의로 인한 합병증으로 이식 기회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신장암과 이식 받을 신장을 공격하는 항체 보유가 가장 큰 장애요인이다.

따라서 이식 대기자의 건강관리와 이식 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 마련이 절실하다. 현재 이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장기이식센터에서는 신장이식 대기자 전용 외래를 개설하고, 전담 의료진이 정기적으로 건강상태와 이식 준비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특히 신장이식 대기자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눈 후 간, 유방, 자궁경부, 피부, 폐, 전립선, 신장, 뼈, 심장, 감염 등에 대해 개인 맞춤형 정기검진을 권장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조기치료를 권장한다.

양재석 서울대병원 장기이식센터 교수는 “이식 대기자들이 4~5년을 기다린 후 어렵게 신장이식 받을 순서가 와도 이식 받을 몸 상태가 안 되어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며 “이식 대기자들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의하면 국내에서는 매년 1000여명의 환자가 신규 신장이식 대기자로 등록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신장이식 대기자는 1만2300명이나, 실제 뇌사자 신장이식은 768건에 불과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