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전체뉴스
잘못된 응급실 선택, 사망률 3배 높여
  • 박정환 기자
  • 등록 2013-05-09 11:04:36
  • 수정 2013-05-12 14:39:37
기사수정
  • 응급환자 17.6% 응급실 과밀로 병원 이동 … ‘응급의료포털’ 확인, 환자 정보 꼼꼼히 챙겨야

2012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응급실을 찾은 후 다시 다른 병원으로 이동하는 ‘전원 환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망률이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급환자 중 17.6%가 병원을 이동한 경험이 있었다.
응급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최대한 빠른 응급조치다. 그러나 순간의 잘못된 응급실 선택으로 여러 병원을 옮겨 다니다가 운명을 달리하는 안타까운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지난 3월 보건복지부가 전국 433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응급의료기관 평가 및 응급실 과밀화 지표(병상포화지수)를 발표한 결과 서울대병원(126%), 전남대병원(116%) 등 일부 유명 대형병원에서 응급실 과밀화가 나타났다. 단순히 유명하고 큰 병원이라는 이유로 아무 정보 없이 응급실로 향했다가는 제대로 된 응급조치를 받지 못할 수도 있다.
2.JPG
이런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해당 병원의 응급실 시설·장비·인력, 중증환자에 대처하는 수준 등이 법정 기준을 충족하는지 사전에 확인하는 게 좋다. 스마트폰 ‘응급의료 정보제공 앱’이나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을 통해 의료기관들의 자세한 응급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응급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미리 파악한 후 응급실을 이용하면 대기시간이 줄어들고 환자의 생존율도 높아진다.
또 평소에 거리가 가깝고 복지부의 응급의료기관 평가를 충족시키는 병원의 응급실 전화번호를 알아뒀다가 응급상황 시 전화로 확인하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김성은 중앙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급성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의 경우 증상 발생 시간이 매우 중요하지만 이같은 정보를 알려줄 보호자가 응급실에 함께 오지 않거나 연락이 안될 때가 많다”며 “이런 경우 치료에 대한 판단이 어렵고 귀중한 시간이 흘러가 환자의 생존율은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또 “가슴통증, 마비, 의식장애 등이 나타나는 환자의 보호자는 정확한 증상발생 시간을 의료진에게 설명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김 교수는  “이전에 진단받았던 출혈성 질환을 비롯한 각종 병력, 수술력,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 등은 혈전용해제 사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하므로 의료진에게 이와 관련된 정확한 정보가 전달되야 한다”며 “처방전이나 최근 병원 기록을 갖고 있으면 치료시 크게 도움된다”고 말했다.
중앙대병원 응급의료센터는 응급중환자 구역 2개 병상을 별도로 운영 중이며 24시간 전담간호 인력을 배정해 3시간 안에 환자가 수술 등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다. 병원 측은 응급중환자 구역을 4개 병상까지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응급의료센터는 복지부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7년 연속 상위 등급을 기록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