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을 쓰던 사람이든 그렇지 않든 사람이든 40대를 넘어서면 점차 신문이나 책을 읽기가 곤란해진다. 잔 글씨는 조금 멀리 놓고 보면 읽는 게 훨씬 수월하다.여성들은 화장할 때 거울이 잘 보이지 않아 자신이 늙어간다는 심리적 불안감과 우울증까지 느낀다.특히 폐경이 겹칠 경우 불안정한 정서는 더욱 커진다.
수정체의 탄력성과 및 모양체의 조절력 약화가 원인
이것이 노안(老眼) 또는 노시(老視)이다. 노안은 근시, 원시, 난시와 같은 굴절이상은 아니다. 수정체의 굴절률이 정상범위에 벗어난 게 아니라 나이 들어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수정체를 두껍게 또는 얇게 만드는 모양체근 및 모양소대의 힘이 약해져 생기는 현상이다. 즉 가까운 곳을 보려면 초점이 맺히는 거리를 줄이기 위해 모양체가 수축되고 수정체는 두꺼워져야 하는데 노화가 진행되면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조절력을 잃게 된다. 조절력은 근점거리(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단위 m)의 역수와 원점거리(볼 수 있는 가장 먼거리,단위 m)의 역수의 차이를 말하는데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모양체근의 능력 또는 원·근거리를 자유자재로 볼 수 있는 능력과 같은 의미다. 조절력이 떨어지면 초점거리를 단축하는 힘이 약해지므로 근거리 사물을 정확히 볼 수 없게 된다.
눈의 조절력은 나이를 먹으며 약해지는데 10세 어린이는 10디옵터까지 조절력이 있으나 40세에는 5디옵터, 50세에는 2.5디옵터로 낮아지다가 60세 이후에는 1디옵터로 거의 없어져 버린다. 노안과 원시는 모두 볼록렌즈로 시력을 교정하기 때문에 둘을 혼동하기 쉬우나 원시는 안축(안구의 전후거리)이 짧거나 수정체의 굴절능력이 낮아 생기는 반면 노안은 눈의 조절력이 약해진 게 원인이기 때문에 별개의 문제다. 노안을 감지하는 시기는 사람마다 다른데 개인별 건강상태, 수정체 경도, 조절력, 굴절이상(원시나 근시), 직업, 습관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노안이 생기는 원인에 대한 고전적 설명은 나이들어 수정체가 경화되고 탄력성이 떨어진데다 수정체 두께를 조절하는 모양체근의 기능도 감소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고해상도 초음파검사 등 다양한 정밀검사를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은 수정체의 지름이 머리카락이 성장하듯이 매년 0.02mm 정도 커져 40세 정도가 되면 수정체와 모양체근의 간격이 좁아져 노안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즉 가까운 곳을 볼 때 정상안은 모양체가 수축해 수정체의 두께를 늘림으로써 제대로 볼 수 있게 하는데 노안은 수정체와 모양체간 간격이 너무 좁아 모양체근이 힘을 쓸 공간이 없다는 것이다.
노안의 10대 증상
① 안경을 쓰던 사람이던 그렇지 않던 40대를 넘어서면 점차 신문이나 책을 읽기가 곤란해진다.
② 잔 글씨는 조금 멀리 놓고 보면 읽는 게 훨씬 수월하다.책 신문을 읽는 거리가 점점 멀어진다.
③ 독서나 컴퓨터작업 등 근거리 업무에 쉬 피로해지고 시야가 흐려지며 불쾌감을 호소한다.머리가 아파서 책 보는 게 싫다.
④ 식당에 가면 메뉴판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다.
⑤ 해가 뉘엿뉘엿 질 때면 눈이 급작스레 피로해지고 30㎝ 거리에서 잔 글씨가 잘 읽히지 않는다.
⑥ 낮이나 환한 곳에서 책을 볼 수 있으나, 밤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책을 보기 힘들다.
평소보다 불을 밝게 해야 책이나 신문을 읽을 수 있다.
⑦ 가까운 곳을 오랫동안 보다가 멀리 내다보면 초점이 흐려져서 흐릿하게 보이고 몇 분이 지나야 잘 보인다.
먼곳을 보고 있다가 갑자기 책을 보면 처음 얼마동안 초점이 맞지 않아 잘 보이지 않는다.
⑧ 뜨개질 바느질 등 세밀한 수작업을 하다가 실수하는 경우가 잦아진다.
⑨ 근시였던 사람은 안경을 벗고 봐야 글씨가 잘 보인다.
⑩ 여성들은 화장할 때 거울이 잘 보이지 않아 자신이 늙어간다는 심리적 불안감을 느낀다.
특히 노안과 폐경이 겹칠 경우 우울증까지 생길 수 있다.
노안을 늦추는데 도움이 되는 15가지 방법
① 지나친 흡연과 음주는 피한다.
② 눈에 좋은 루테인과 비타민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와 과일,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③ 인스턴트 음식, 지나치게 단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④ 강한 자외선을 피하고 선글라스 착용 등으로 눈을 보호한다.
⑤ 어두운 조명에서 책을 읽는 것을 피한다.400~700 럭스의 적절한 조도를 유지한다.
⑥ 버스나 지하철같이 흔들리는 곳에서는 책을 읽지 않는다.
⑦ TV를 볼 때는 불을 켜고 보는 것이 좋다.
⑧ 강한 조명,건조한 실내공기,담배연기 속에서 독서를 삼간다.
⑨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1시간마다 5분 정도 휴식을 취한다.
⑩ 모니터를 볼 때에는 10초에 한번 정도 눈을 자주 깜박거려 안구건조증을 방지한다.
⑪ 컴퓨터 모니터와는 30㎝ 이상 떨어져서 작업한다.
⑫ 40대 이후에는 1년에 1~2회 안과검진을 받는다.
⑬ 30㎝이하 거리에서 글씨가 잘 안보이면 안과검사를 받는다.
⑭ 스트레스와 만성피로를 줄여 수정체 노화,안구건조를 방지한다.
⑮ 백내장, 녹내장, 안구건조증의 조기치료 및 예방에 적극 나선다.
컴퓨터 사용 늘어 40대 중반부터 노안 온다
어려서부터 과중한 학업에 시달리고 PC 사용 및 TV 시청 시간이 크게 늘어나면서 요즘엔 안경(오목렌즈)를 쓰지 않는 젊은이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 여파로 노안이 오는 시기도 과거 40대 후반에서 점차 40대 중반으로 앞당겨지고 있다. 30대 후반부터 노안이 오는 경우도 차츰 늘어나는 추세다.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세대들이 고령화되면서 2020년 이후에는 30%가 넘는 사람들이 노안으로 불편을 느낄 것이란 전망이 안과 학계에서 나오고 있다.
간혹 1.5이상의 시력을 자랑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이런 사람들조차도 청춘을 보내고 40대 중반에 접어들면 서서히 노안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젊어서부터 눈이 아주 좋다고 특권을 타고난 것처럼 의기양양 자부심을 가지다가 어느덧 나이를 먹어 또래 친구들보다 먼저 노안이 나타나 돋보기를 써야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젊었을 때 1.0이상의 좋은 시력을 가진 사람에서 오히려 상대적으로 빨리 노안이 시작돼 노안의 불편을 더 견디기 어려워한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어린 나이에 안경을 착용해온 경우라면 비교적 늦게 노안이 시작한다. 그래서 세상은 공평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40대 후반을 넘기면 다초점 안경을 쓰거나 근거리용 안경이 추가로 더 필요할 수 있다.
젊은 시절의 시력에 따라 노안대처법 달라져
▷근시로 오목렌즈를 써오던 사람에게 노안이 오면 일시적으로 안경을 벗어도 가까운 곳이 잘 보이는 현상이 생겨 자신의 시력이 나아진 것으로 착각하게 된다.일반적으로 마이너스 3 디옵터(-3D) 이하의 경도 근시나 -3D~-6D사이의 중등도 근시를 가진 사람은 노안이 오더라도 안경만 벗으면 가까운 거리의 물체나 글씨를 잘 볼 수 있다.그러나 마이너스 6 디옵터(-6D)를 넘는 고도 근시는 안경을 벗는다고 책이 잘 보이지는 않는다. 이런 경우에는 근거리와 원거리를 보는 오목렌즈 안경 2개가 따로 필요하다.
▷근시였다가 노안이 찾아온 환자가 가까운 곳을 볼 때 안경을 벗었다 썼다 하는 불편을 피하고 싶으면 이중초점렌즈 또는 누진다초점렌즈를 착용할 수 있다.이중초점렌즈는 가까운 거리(33㎝이내)와 먼 거리(수m이상)를 동시에 볼 수 있지만 중간 거리(50~70㎝)가 잘 보이지 않고 초점이 위·아래 두 개로 맺혀 겉보기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누진다초점렌즈는 이중초점의 경계선을 완만하게 이행시킨 것으로 먼 거리는 렌즈 위쪽을 보며 근시나 난시의 교정이 가능하다. 가까운 거리는 렌즈 아래쪽을 보며 노안을 해소할 수 있다. 가격이 비싸고 시야가 좁아져 적응에 보통 3~6개월이 걸린다.
이중초점 또는 누진다초점 렌즈를 박은 안경은 늙어보이는 티가 나 대신에 노안교정용 콘택트렌즈를 쓸 수도 있다. 콘택트렌즈도 안경처럼 이중초점렌즈, 비구면 렌즈, 다초점(멀티포컬)렌즈 등이 있다. 비구면 콘택트렌즈는 보다 편안한 느낌이 들며 중등도 이상의 난시도 함께 교정할 수 있다.다초점 콘택트렌즈는 가운데 부위로 가까운 거리를, 가장자리로 먼 거리를 볼 수 있게 디자인돼 있다. 콘택트렌즈는 감염이나 각막손상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중초점 및 다초점 렌즈는 가까운 곳과 먼 곳을 볼 때 맺힌 상이 뇌의 시각인지에 혼돈(이미지 점프)을 일으켜 어지럼증, 두통을 유발하므로 만족할 해결책이 못 되고 있다.
▷근시였다가 노안이 온 사람이라도 근거리 업무를 보려면 돋보기(볼록렌즈 안경)가 필요할 수 있다. 보통 선명하게 물체를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근점거리)가 40㎝ 이상으로 길어지면 돋보기가 권장된다. 이들에게 돋보기를 처방할 때는 환자 조절력의 3분의 1가량을 예비로 남겨둔다. 남아 있는 조절력을 고려하지 않은 채 도수 높은 돋보기를 처방하면 당장은 글자가 크고 시원하게 보이지만 수정체의 자율조절능력이 저하돼 노안의 진행을 촉진시킬 수 있다. 처음에 낮은 도수로 시작해 서서히 올려가면서 자기 눈에 맞는 도수의 안경을 껴야만 눈의 피로가 오지 않을 뿐 아니라 업무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반대로 원시로 볼록렌즈를 써오던 사람에게 노안이 오면 굴절력이 떨어지고 초점거리가 길어지므로 먼 곳을 볼 때도 볼록렌즈가 필요하고 가까운 곳을 볼 때는 도수가 높은 더 두꺼운 볼록렌즈를 써야 한다.원시였던 노안이 온 사람은 가까운 곳을 볼 때 근시나 정상시력이었다 노안이 온 사람보다 수정체를 더 수축시켜야 하기 때문에 자기도 모르게 얼굴을 찡그리고 만성적 피로감이 심하고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보다 이른 나이에 돋보기를 써야 한다. 정상시력이었던 사람에게 노안이 온 경우에는 글을 읽을 때만 돋보기를 쓰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