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지씨셀, 중국 IASO社 다발성골수종 겨냥 CAR-T 치료제 국내 도입 계약 체결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0-29 15:30:57
기사수정
  • ‘푸카소’(Equecabtagene Autoleucel) … 기존 허가된 CAR-T 치료제보다 합리적 가격으로 환자 접근성 확대

지씨셀은 중국 ‘난징 이아소 바이오테크놀로지’(Nanjing IASO Biotechnology)와 다발성골수종 치료용 CAR-T 치료제 ‘푸카소’(Fucaso, Equecabtagene Autoleucel)의 국내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국내 다발성골수종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씨셀은 Fucaso의 국내 허가 및 상용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다발성골수종은 완치가 어려운 혈액암으로, 재발 위험이 높고 주로 고령층에서 발생한다. 국내에서도 고령화로 인해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치료제에 대한 내성과 불응성으로 인해 치료 접근성이 제한적이다. 최근 일부 병용요법이 급여화되며 초기 치료 환경은 개선되고 있으나, 4차 이상 환자에서는 고가의 CAR-T 치료제와 인프라 부족으로 실질적 치료 선택지가 매우 제한돼 있다.

 

Fucaso는 이아소 바이오가 개발한 항BCMA(B세포 성숙항원) 표적 CAR-T 세포치료제다. 2023년 6월 중국에서 승인을 받아 현재 현지 중국 환자들에게 처방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가격을 확보함으로써 치료제가 필요한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항BCMA(B세포 성숙항원) 표적 CAR-T 다발성골수종 치료제로 시판된 것은 얀센과 중국 레전드바이오텍이 공동 개발한 ‘카빅티’(Carvykti, Ciltacabtagene autoleucel, 실타-셀(Cilta-cel)),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의 ‘아베크마’(Abecma, idecabtagene vicleucel, 이데-셀(ide-cel))가 있다. 이 중 카빅티만 국내에 허가돼 있고 급여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지씨셀은 Fucaso의 국내 도입을 위해 올해 상반기부터 준비를 진행해왔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7월 희귀의약품 지정을, 이어 8월에는 신속처리 대상 첨단바이오의약품 지정을 각각 승인받았다. 지씨셀은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 환자들이 적절한 시점에 비용 효율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할 계획이다. 원성용 지씨셀 대표(왼쪽)와 장진화(Jinhua Zhang) 이아소바이오테크놀로지 대표가 '푸카소' 국내 독점 공급 계약을 맺고 있다. 

원성용 지씨셀 대표는 “이번 계약은 지씨셀이 국내 대표 세포치료제 기업으로서 CAR-T 상용화의 기반을 마련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환자들이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공급망 안정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장진화(Jinhua Zhang) 이아소바이오테크놀로지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은 이아소의 글로벌 전략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라며 “Fucaso의 국제적 잠재력을 입증함과 동시에, 지씨셀의 상업화 역량을 통해 한국 시장에서 더 많은 환자에게 혁신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