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에 2제 요법(테고프라잔+아목시실린)으로도 가능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0-23 11:17:53
기사수정
  • 조준형 순천향대 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 … 기존 3제요법의 클래리스로마이신 내성 극복 기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자에게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성분명 테고프라잔)와 고용량 아목시실린을 기반으로 제균요법을 하면 효과적인 제균치료가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준형 순천향대 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2024년 11월부터 2025년 4월까지 서울의 3차 대학병원(상급종합병원)에서 내시경 조직 검사 결과 클래리스로마이신 내성이 있는 헬리코박터 감염자 57명을 대상으로 고용량 아목시실린 항생제(하루 3g), 테고프라잔 50mg을 하루 두 번 2주간 처방했다. 

 

연구 결과 과거 제균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초치료 환자는 과거 치료 경험자보다 성공률이 30~40% 더 높았다(60.0% 대 29.4%, p = 0.035 또는 70.6% 대 31.3%, p = 0.009). 이는 클래리스로마이신 내성균의 경우에는 기존의 3제 요법보다 2제 요법이 부작용이 적고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3제요법은 프로톤펌프억제제(PPI) 1가지와 항생제 2가지(아목시실린, 클래리스로마이신)를 함께 복용하는 현 표준치료법이다. 

 

치료 순응도는 100%로 우수했다. 복용 기간에 발생한 소화기 부작용 비율은 8%이며, 대부분 경미하여 약을 중단한 사례는 없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약 50%가 감염된 유병률을 보이는 만성 감염성 질환이며, 감염자의 위 점막에서는 수 십 년간 활동성 감염이 지속된다. 헬리코박터균은 항생제로 박멸하는 제균치료를 받지 않고서는 저절로 소멸되지 않는다. 치료받지 않은 감염자는 미감염자에 비해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까지 일으키고 위암 발생 위험도가 약 10~20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헬리코박터균은 한가지 항생제를 사용해서는 치료가 되지 않아 2~3가지 항생제(아목시실린, 클래리스로마이신, 메트로니다졸)를 위장약(프로토펌프억제제)과 같이 2주간 투여해야 한다. 과거에는 3제 요법(프로톤펌프억제제 + 아목시실린 + 클래리스로마이신)을 1주간 치료했지만 헬리코박터균의 항생제 내성 발현으로 인해 점차 성공률이 감소되고 있어 치료 기간이 현재는 2주까지 늘어났다.  조준형 순천향대 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조준형 교수는 “헬리코박터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는 3제 요법을 2주간 받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클래리스로마이신 내성이 확인된 환자에서는 이번 연구에서 보여준 2제 요법을 복용해보는 것도 새로운 옵션이 될 수 있다”며 “다만 하루 3~4회까지 복용 시간을 잘 지켜야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환자 교육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급 학술지인 ‘미생물’(microorganisms, IF=4.2)의 2025년 10월 21일자에 ‘클래리스로마이신 내성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테고프라잔-아목시실린 2제 요법: 타당성 시범 연구’(Tegoprazan–Amoxicillin Dual Therapy for Clarithromycin-Resistant Helicobacter pylori: A Feasibility Pilot Study)라는 논문으로 게재됐다. 

 

한편 조준형 교수는 ‘미래미생물학’(Future Microbiology, IF=2.4) 저널에 ‘헬리코박터 진단과 치료: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종설을 출판해 관련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11월에 개최되는 한국 소화기병 주간 학술 대회(KDDW 2025)에서 초청 강의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