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병원 밖 심정지, 30분 이내 응급실 이송 시 사망률 및 심각한 뇌 손상 53% 이상 감소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0-14 09:16:45
기사수정
  • 응급실 이송이 5분 느려질 때마다 사망률은 16%, 심각한 뇌 손상률은 14% 증가
  • 용인세브란스병원 연구팀, 7만6000여 명 대상 국내 첫 대규모 분석 … 30분 ‘골든타임’ 생존율 갈라

30분 이내 응급실 이송이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사실이 대규모 국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명확히 입증됐다.

 

이오현‧배성아‧김용철 연세대 용인세스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팀, 허석재 연세대 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박사팀은 2016~2021년에 국내에서 발생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7만6505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환자의 생존율 및 신경학적 경과는 이송시간 30분을 기점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119 응급의료서비스 호출 후 응급실 도착까지 걸린 시간에 따라 환자를 △1분위(25분 이하) △2분위(26~30분) △3분위(31~39분) △4분위(40분 이상)로 나눠 경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응급실 도착까지 40분 이상 걸린 환자와 비교했을 때, 26~30분 이내 이송 환자는 병원 내 사망률과 심각한 뇌 손상률이 약 53% 낮았다. 25분 이내 응급실 도착 환자는 병원 내 사망률이 약 70% 낮고, 심각한 뇌 손상률은 68%가량 낮게 나타나는 등 압도적인 생존 우위를 보였다.

 

연구팀은 응급실 도착 시간 지연에 따른 누적된 효과도 추가로 확인했다. 응급실 이송이 5분 늘어날 때마다 병원 내 사망률은 약 16%, 심각한 뇌 손상률은 약 14% 증가했다. 이는 현장에서 수행한 목격자 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여부 등 다양한 변수를 보정한 결과로, 응급실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이 이들 변수와 무관하게 생존을 결정짓는 독립적 요인임을 보여준다.  

이오현 교수는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최선의 응급처치를 하더라도 병원 도착이 지연되면 생존율 향상과 뇌 손상 회복에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며 “응급실 도착 후 시행하는 전문적인 소생술, 체온관리, 관상동맥중재술 등 고도 치료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강조했다.

 

김용철‧배성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골든타임의 개념을 명확한 수치적 근거를 기반으로 입증한 국내 첫 대규모 연구”라며 “심정지 환자 치료에서 막연히 ‘빨리’가 아닌 ‘30분’이라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된 것이 핵심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Mayo Clinic Proceedings’ 10월호에 게재됐다. 국내 응급의료체계 개선과 심정지 환자 치료 지침 마련에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