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평소보다 음주량 늘었다면 ‘위암’ 주의 … 금주, 절주하면 위험 줄어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0-01 09:00:53
기사수정
  • 남성은 음주량 소폭 증감에도 위암 위험 변화, 여성은 음주량 ‘급증’이 문제
  •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40세 이상 31만명 ‘음주량 변화’ 분석 연구

비(非) 음주자가 술을 마시기 시작하거나, 기존 음주자가 섭취량을 늘리는 등의 음주 행태 변화가 위암 발생 위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절대적 음주량뿐만 아니라 음주량 변화 역시 주의 깊게 관찰·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최용훈 소화기내과 교수, 장지은 국립암센터 암진료향상연구과 박사)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40세 이상 성인 31만192명을 하루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경도(남성 15g, 여성 7.5g 미만) △중등도(남성 15~29.9g, 여성 7.5~14.9g) △고용량(남성 30g, 여성 15g 이상)으로 분류하고, 평균 약 12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알코올 섭취량과 무관하게 음주량 증가는 명백한 위암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금주 혹은 절주는 발병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예를 들어 비음주자가 새롭게 음주를 시작할 시 가벼운 수준으로 즐기더라도 위암 위험이 14% 가량 증가(상대위험도 1.14)했으며, 반대로 중등도의 음주자는 경도 수준으로 줄일 경우 발병 위험이 20% 가량 감소(상대위험도 0.80)했다.

 

남녀에 따라 양상은 달랐다. 남성은 음주 유지자보다 비음주자의 위암 발생 위험이 약 10% 낮았고, 섭취량을 늘린 집단은 위험도가 약 10% 높아져 음주량 변화와 위암 발병 위험의 연관성이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났다. 반면 여성은 전반적으로 연관성이 낮게 나타났으나, 비음주에서 고용량 음주로 섭취량이 급증할 시 위암 위험이 약 2배 증가해 폭음에 대한 주의가 필요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음주량 변화와 위암 발병 위험의 연관성을 유형별로 구체적으로 밝혀내고, 성별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금주·절주 교육 등의 치료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해 의미가 깊다. 그동안의 음주와 위암의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들은 주로 절대적인 음주량에 초점을 맞춰온 데 반해, 실질적인 행동 변화에 따른 영향을 장기간 연구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왼쪽부터), 최용훈 소화기내과 교수, 장지은 국립암센터 암진료향상연구과 박사

김나영 교수는 “음주량의 많고 적음뿐만 아니라 최근의 변화 양상이 위암 위험과 연관이 깊음을 밝힌 연구”라며 “절제 또는 금주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위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내시경으로 조기 위암을 제거한 적이 있거나, 가족력·흡연 등 고위험 인자를 보유하고 있다면 금주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어렵다면 음주량을 최대한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4-2027년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대한암학회의 공식 학술지 ‘암 연구와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IF=4.1)에 최근 온라인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