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척추관절염 환자서 생물학적제제는 급작스런 중단보다 완만한 감량 중요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5-23 10:52:17
기사수정
  • 민홍기 건국대병원 교수, 대한류마티스학회서 초청 강연

생물학적제제의 효과가 많이 밝혀져 있지만, 척추관절염 환자에서는 생물학적제제를 사용해 관해에 도달한 이후에는 어떻게 조절할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관해에 도달해도 생물학적 제제를 완전히 중단하면 질병활성도가 악화되는 경우가 45.3~100%로 나타나 완전한 중단은 위험하다. 

   

척추관절염에서 생물학적제제 감량을 시도할 경우에도 질병활성도가 악화될 위험도가 정규 용량을 사용하는 환자보다 1.6배 높기 때문에, 질병활성도 악화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신중하게 감량을 시도해야 한다.

   

민홍기 건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지난 16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제45차 대한류마티스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제19차 국제심포지엄(KCR2025)에서 연자로 초청받아 ‘척추관절염 환자에서 생물학적 제제 감량의 최적화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생물학적제제는 척추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을 상승시키고, 질병활성도를 낮춰 통증 및 조조강직감을 개선 시켜주고, 장기적으로는 척추의 유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낮춰 준다.

   

성공적인 생물학적 제제 감량을 위해서는 관해 기간을 늘리고, 감량의 정도를 서서히 시도하는 게 중요하다.    민홍기 건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민 교수는 “생물학적제제는 척추관절염 치료에서 관해를 유도할 수 있는 좋은 치료제”라며 “관해에 도달한 이후에도 약물치료를 유지해야 하고, 특히 생물학적제제로 좋은 반응을 얻어 약을 줄이고 싶다면 완전히 중단하는 것보다는 담당의와 상의하여 감량을 고려해 보는 게 좋다”고 밝혔다.

   

그는 대한류마티스학회 의료정책 간사, 학술위원, 총무위원, 대한면역학회 학술위원으로 다양한 학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최근 류마티스학회 ‘젊은연구자상’을 수상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차병원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휴온스
하루 동안 이 창을 다시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