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이홍섭 부산백병원 교수, 혈액으로 크론병·궤양성대장염 분별법 개발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3-27 18:18:15
기사수정
  • 혈청 내 다중분자 분석 … 개인맞춤형 염증성장질환 치료 기반 마련

자가면역질환인 염증성장질환(IBD)에 더 정확한 진단과 개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홍섭 인제대 부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의 차이를 혈액 속 분자 특성을 통해 밝혀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기존 염증성장질환 진단은 대장내시경이나 조직검사에 의존해야 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혈액을 통한 멀티오믹스 분석으로 질병 유형과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멀티오믹스(Multi-omics)란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 등 여러 생물학적 데이터(omics)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접근 방식이다.

   

연구팀은 크론병 환자 18명, 궤양성 장염 환자 57명에서 혈청 내 단백질, 대사물질, 지질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두 질병군 간에 만성염증, 인지질, 담즙산 항상성에서 차이가 관찰됐다. 궤양성대장염 환자에서 결합 담즙산 수치가 더 높았으며, 인지질 구성에 변화를 보였다. 서로 다른 생체지표(biomarker)들을 통해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을 정확히 구분하고 정밀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대변 내 염증 수치(칼프로텍틴, Calprotectin)을 통해서도 두 질환의 차이를 발견했다. 칼프로텍틴은 백혈구의 호중구(중성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염증 등에 의해 중성구가 파괴되면 배출된다. 연구 결과 높은 칼프로텍틴 수치는 염증 관련 단백질과 스핑고미엘린의 증가를 보였으며 담즙산, 아미노산, 중성지방의 감소와 연관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특히 바이오마커의 분석을 통해 염증성장질환이 ‘활동성’ 상태인지 증상이 없는 ‘관해’ 상태인지를 구분할 근거도 마련했다. 활동성 질환의 경우 염증 관련 단백질과 중성지방이 증가했지만, 스핑고미엘린은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기존 연구는 대부분 건강한 대조군과 염증성장질환 환자를 비교한 반면 이번 연구는 이미 치료를 받고 있는 염증성장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실제 임상 환경을 잘 반영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더해 염증성장질환의 조기진단과 맞춤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바이오마커 후보군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했다.

   이홍섭 인제대 부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이홍섭 교수는 “이번 연구는 염증성장질환의 복잡한 분자적 특성을 밝히는 데에 기여했다”며 “향후 더 큰 규모의 종단 연구를 통해 이번 결과를 검증하고, 인과관계를 더 명확히 밝힐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SCIE급 학술지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IF=3.1) 최근호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정관장몰
차병원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휴온스
하루 동안 이 창을 다시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