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근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아동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데 필요한 관용적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아동 사회적 언어 검사’(Social Language Test for Children: C-SLT)를 개발, 30일 출판했다고 밝혔다.
어린이가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단서 및 맥락 파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은유적인 관용구를 잘 이해해야 한다. 이 도구는 국내 최초로 개발된 것으로 검사 항목에 한국 사회문화적 상황을 반영해 학령기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관용 어구 사용 능력을 정밀하게 평가한다.
검사는 총 45개의 관용적, 비유적 표현이 담긴 문항과 45개의 삽화로 구성돼 있다. 검사자는 아동에게 문장과 그림을 보여준 후 문장을 한 글자씩 읽어준다. 아동은 그림이 문장에 담긴 관용적, 비유적 의미를 나타내는지 답변한다.
각 문항은 △관용적, 비유적 표현이 그림 상황 맥락과 일치하는 ‘일치형’,△관용적, 비유적 표현이 사회적으로 사용하는 의미가 아니라 문장 그대로를 나타내는 ‘불일치형’ △관용적, 비유적 의미 없이 상황 자체를 설명하는 ‘중립형’으로 구성됐다. 채점 결과에 따라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 수준이 ‘고급’, ‘기초’, ‘미숙함’, ‘제한적’ 4개로 분류된다.
천 교수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증) 아이를 대상으로 관찰 연구하다가 사회성 언어를 담당하는 뇌 활성 영역이 저조하고, 전세계적으로 사회성 언어를 평가할 적합한 도구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검사 도구 개발은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관용 어구 수백 개 중 아동들이 이해할 만한 것을 추리는 작업부터 시작했다. 이후 관용 어구의 의미를 담아낸 ‘일치 삽화’, 문자 그대로 해석한 ‘불일치 삽화’, 관용 어구와 상관없는 ‘중립적 삽화’들을 하나하나 세밀하게 그리는 과정을 거쳤다.
천 교수는 “C-SLT는 소아정신과 의사, 소아청소년과 의사, 언어재활사, 임상심리전문가, 특수교사, 학교 상담교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아동의 사회적 언어 발달을 이해하고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언어 발달 및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와 중재치료 계획에 가치를 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