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하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팀(명호성 임상강사)은 뇌 해면상 혈관종(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 CCM) 환자에서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gamma knife radiosurgery, GKS)이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뇌 해면상 혈관종은 뇌에서 두 번째로 흔한 혈관 기형으로 뇌출혈, 신경학적 결손, 두통, 경련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무증상일 경우 보존적 치료가 권장된다. 증상을 유발할 경우 미세수술이나 방사선수술이 고려된다.
최근 건강검진을 통해 무증상인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뇌 해면상 혈관종의 자연 경과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아 최적의 치료법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또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의 10년 이상 장기 치료 성적을 다룬 연구도 부족해 수술 적정성 여부도 궁금한 상황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1998년부터 2012년까지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을 받은 뇌 해면상 혈관종 환자 233명 중 10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79명의 환자(96개 병변)를 대상으로 장기 예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전후의 연간 출혈률(annual hemorrhage
rate, AHR), 신경학적 회복 정도, 방사선 관련 부작용(adverse radiation effect, ARE), 병변 크기 변화를 분석했다. 평균 추적 기간은 14년이었다.
연구 결과, 79명의 환자들은 연간 출혈률이 수술 전 21.4%에서 수술 후 2년 차에 3.8%, 10년 차에 1.4%로 크게 감소됐다. 이후에는 2.3%로 유지됐다. 특히 뇌간에 위치한 해면상 혈관종 환자의 경우 수술 전 출혈률이 27.2%였으나 수술 후 2년 차에는 6.0%, 10년 차에는 3.5%로 감소해 출혈 위험이 대폭 줄어들었다.
추적 관찰에서 신경학적 결손을 보였던 환자 중 74.3%는 마지막 관찰 시 증상이 회복됐고, 대부분의 병변(81.3%)은 크기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방사선 관련 부작용은 환자의 6.4%에서 발생했으나, 이로 인한 사망자는 없었다.
출혈 위험 요인으로는 이전 출혈 경험과 뇌간 병변 위치가 유의미한 인자로 확인됐다. Cox 회귀 분석에 따르면, 이전 출혈 병력이 있는 경우 출혈 위험이 크게 증가했으며(HR, 8.38; P = 0.043), 병변이 뇌간에 위치한 경우 출혈 위험이 높았다(HR, 3.10; P = 0.014).
Taslimi 등이 2016년에 발표한 연구에서는 수술 전 출혈 이력이 있는 환자들의 재출혈 위험이 뇌간 병변에서 32.3%, 비-뇌간 병변에서 6.3%로 보고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후 뇌간 병변의 재출혈 위험이 4.9%, 비-뇌간 병변에서는 1.1%로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이 뇌 해면상 혈관종의 초기 치료로서 출혈률과 방사선 관련 부작용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출혈 이력이 있거나 뇌간에 병변이 있는 경우 보존적 치료보다는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출혈 위험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백선하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이 뇌 해면상 혈관종 환자들에게 장기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입증했다”며 “특히 출혈 병력이 있거나 뇌간에 병변이 있는 환자들에게는 이 치료법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영문 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IF=2.7)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