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칼럼
심혈관질환, 정신건강과 밀접한 연관 … 대표적 ‘정신신체질환’
  • 추원영 인천세종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 등록 2024-08-12 12:55:53
기사수정
  • 스트레스가 교감신경 흥분. 혈압 상승, 혈중 콜레스테롤 및 지방 증가, 심근허혈 초래
  • 관련 진료과 다학제 협진으로 치료하면 만족도 높아져 … 긍정적 자세로 ‘웰빙’ 실천해야

정신 상태와 신체 질환이 상호작용해 발생하는 것을 ‘정신신체질환’(Psychosomatic Disease)이라 한다. 대표적인 게 심혈관질환으로 정신건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정신-신체 상호과정 중에 환자에게 노출되는 모든 스트레스가 각 질환의 발병과 악화요인이 된다. 다시 말해, 신체 질환이 있는 환자는 정신건강 문제가 많을 수밖에 없고, 반대로 정신과 환자들도 신체 질환을 많이 앓게 된다.

   

정신신체질환으로는 고혈압, 천식, 소화기궤양, 과민성대장 등이 있는데 심혈관질환도 아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정신신체의학이 정신과의 세부 전문과목으로 있을 정도로 상호 연관성이 뚜렷하게 밝혀져 있다.

   

스트레스는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혈관을 수축시켜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스트레스는 교감신경 흥분. 혈압 상승, 혈중 콜레스테롤 및 지방 증가, 심근허혈, 혈관 연축 등을 초래한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흉통 등을 호소하거나, 이미 심혈관질환으로 문제없이 치료받고 있는데 두근거림 등 증상이 계속되는 사람은 정신신체질환일 가능성이 높다.

   

만병의 원인은 스트레스라 한다. 그 만병에는 신체 질환뿐만 아니라 정신질환도 포함된다. 정신과에 방문하는 흔한 계기가 우울, 불안, 불면, 공황 등인데, 대부분 정신질환은 명확한 한두 가지 원인으로 발병하기보다는 생물학적, 유전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등 다양한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심혈관질환의 경우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심장과 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반대로 심혈관질환이 뇌·정서기능과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복합적이다. 관상동맥질환, 울혈성 심부전 등 심혈관질환이 우울, 불안, 공황, 불면 등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다.

   

심혈관계에서 정신신체질환은 혈소판기능부전, 자율신경조절부전, 염증성 반응 등의 기전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스트레스 상황이 지속돼 스트레스호르몬인 코티솔이 계속 분비되면 심장 및 뇌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평소 화가 많고 참을성이 없는 ‘Type A’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관상동맥질환에 걸릴 위험이 크다. 부정적이고 걱정이 많으며 사회적으로 고립된 ‘Type D’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높은 불안도로 인해 관상동맥질환을 비롯해 부정맥 위험도 크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특히 오랜 기간 지속된 만성 스트레스 또는 급격하고 극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면서 흉통·두근거림·어지러움·답답함 등 심혈관질환 의심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나, 이미 정신질환이나 심혈관질환 한쪽에 대한 치료와 평가를 충분히 받고 있음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사람은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정신질환과 신체 질환 모두에 대해 평가받아야 한다.

   

기왕이면 심장혈관흉부외과, 심장내과, 정신건강의학과 간 다학제 협진이 활발한 의료기관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다학제 진료 후 증상이 잘 조절돼 협진 보길 잘했다고 만족하는 환자가 많다.

   

정신과 신체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게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만큼 정신 및 신체 두 가지가 연결돼 있기에 한쪽 관리를 잘하면 다른 쪽 질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오히려 질환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삶에 대해 긍정적 자세를 가지고 웰빙을 실천하되, 스스로 조절하기 어려운 증상이 생기면 꼭 전문의와 상담하길 바란다. 추원영 인천세종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