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속에서 인슐린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인 1형 당뇨병은 평생 관리해야하는 만성질환이다. 인슐린 주사로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과 어린 나이에도 비교적 많이 발병하는 특징으로 인해 1형 당뇨병는 흔히 ‘소아 당뇨’로 알려져 있다.
자가면역질환인 1형 당뇨는 그러나 나이 불문하고 진단될 수 있는 질환으로 2021년 기준 전세계적으로 840만명이 넘을 것이란 보고가 있다. 2040년에는 1350만~174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 평가에서는 1형 당뇨 환자의 42%가 31~60세로, 성인 환자 관리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우리 사회 현실은 역행하고 있다. 한국에서 1형 당뇨에 대한 인식은 낙인 점수(stigma score: 점수가 높을수록 낙인 수준이 높음)로 59점이다. 호주 53점, 터키 47점, 덴마크 43점보다 높다. 이러한 사회 인식은 당뇨 환자들의 치료와 관리를 어렵게 만든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섭식장애, 우울증, 불안과 같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1형 당뇨 환자들은 혈당 조절도 힘들었다. 그럼에도 1형 당뇨 성인 환자 76%는 정신건강 관련 지원을 받아본 적이 없다 보고된 바 있다. 사회적 인식 오류와 치료 사각지대에 놓인 1형 성인 당뇨 환자들에 대한 관심이 절실하다.
김재현·김규리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2009년 1월~2020년 12월의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이 된 후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된 환자 1만391명과 일반인 5만1995명을 평균 7.94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이들의 정신건강질환 발생률은 각각 1000인년(人年) 당 66명, 29명으로 1형 당뇨 성인 환자들이 2배 이상 더 높았다.
하위 분석에서 질환별 위험을 비교한 결과, 성인이 된 후 1형 당뇨로 진단된 환자들이 일반인 보다 음주 및 약물 오남용은 4배, 우울증 3배, 성격 및 행동 장애 2.6배, 기분장애와 섭식장애 2.5배, 불안 및 스트레스장애 1.9배로 발생 위험이 더 높았다.
김재현 교수는 “1형 당뇨 성인 환자들이 힘든 치료 과정 속에서 정신적으로도 건강을 잃어가는 모습을 볼 때면 항상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며 “메드트로닉의 인공췌장인 ‘미니메드 670G 하이브리드 폐-루프(closed-loop)’처럼 외부 노출 없이 혈당 모니터링과 인슐린 주사가 가능한 치료도 있지만 모든 당뇨 환자들이 할 수 있는 치료는 아니다”고 말했다. 가격이 비싸 접근성이 낮기 때문이다.
그는 “이러한 기술들이 정신건강 질환을 앓고 있는 1형 당뇨 환자에게 특히 필요하다”면서 “하루 빨리 사회적 인식과 치료 시스템이 개선되어 1형 당뇨 성인 환자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당뇨병과 신진대사’(Diabetes & Metabolism, IF 7.2)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