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국내 비후성심근증 환자에 적합한 한국형 급사 예측요인 도출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4-01-24 14:06:03
  • 수정 2024-01-31 13:20:12
기사수정
  • 김형관·이상철·이현정 교수팀, 위험인자 2개 이상’부터 급사 위험↑...‘심근변형’저하되면 급사 위험 4배↑

미국의 최신 진료지침을 국내 비후성심근증 환자에게 그대로 적용할 경우 불필요한 치료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고위험군을 감별하려면 ‘위험인자 개수’와 ‘심근변형’ 지표를 함께 평가해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추후 제정될 국내 진료지침의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형관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이상철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이현정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국내 최대 규모의 비후성심근증 코호트를 대상으로 미국심장학회 최신 진료지침의 성능을 분석하고, ‘심근변형’의 급사 예측력을 평가한 연구 결과가 24일 발표됐다.


급성 심장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후성심근증은 심장근육이 유전적으로 두꺼워지는 심근질환이다. 200~500명 중 한 명꼴로 발생하며 증상이 없어 다른 검사를 하다가 우연히 진단되기도 한다.


2020년 발표된 미국심장학회 최신 진료지침에서는 △급사 가족력 △좌심실 비대(LVWT≥30㎜) △원인 없는 실신 △좌심실 근단 부위 동맥류 △좌심실 박출률(LVEF)<50% △비지속성 심실빈맥 △후기 가돌리늄 증강(LGE)≥15% 등 7가지 급사 위험인자 중 1개 이상 가진 환자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며, 고위험군에게는 급사를 일차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이식형 제세동기 삽입술을 권고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


연구팀이 이 같은 진료지침을 국내 비후성심근증 환자 1416명에게 적용하자 44%(620명)가 1개 이상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었다. 즉 10명 중 4명 이상은 제세동기 삽입을 고려할 수 있는 급사 고위험군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급사에 이른 환자는 100명 중 4명에 그쳤다. 5.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3.3%(43명)에서 급사 등이 발생했다.


이는 미국 진료지침의 기준을 그대로 따를 경우 불필요한 제세동기 삽입술을 받는 환자가 생길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세동기는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더욱 정확한 고위험군 예측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국내 환자만을 대상으로 ‘위험인자 개수’에 따른 급사 위험 예측력을 세부 분석했으며, ‘위험인자 2개 이상’일 때부터 급사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심근 수축 기능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심근변형(strain)’도 급사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심초음파로 측정되는 심근변형은 심장 수축 시 세로로 줄어든 정도를 의미하는 지표다.


전체 연구집단에서 다른 변수를 조정했을 때, 심근변형이 저하된 환자(좌심실 변형률(LVGLS) 13% 미만, 좌심방 변형률(LARS) 21% 미만)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급사 위험이 최대 4배 높았다. 이들 중 ‘위험인자 1개’ 그룹만 분석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심근변형이 저하된 환자가 급사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팀은 비후성심근증 환자들 중 급사 고위험군을 보다 정확히 감별하려면 ‘위험인자 개수’와 함께 ‘심근변형 저하’ 여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위험인자 중 ‘좌심실 박출률 50% 미만’만 급사 위험 단독적으로 높일 수 있어


한편 각각의 급사 위험인자는 급사 위험에 단독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반면, ‘좌심실 박출률 50% 미만’은 예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위험인자만 단독으로 가진 경우 급사 위험이 약 9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형관, 이상철 교수(공동 교신저자)는 “미국 진료지침을 그대로 적용하면 불필요한 제세동기 삽입술이 많아질 우려가 있다”며 “급사 위험을 신중히 판단하고 적절한 제세동기 삽입술을 실시하기 위해선 심근변형 저하를 주의 깊게 평가해야 하며, 특히 단독으로 급사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좌심실 박출률 저하도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현정 교수(제1저자)는 “국내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인 비후성심근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며 “이를 근간으로 향후 국내 비후성심근증 진료지침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학회 아시아 공식 학술지 ‘미국심장학회지:아시아(JACC:Asia)’에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