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인공와우이식팀은 지난 8일 인공와우 이식 환자와 보호자, 관련 의료진을 초대해 ‘인공와우 이식 2,000례 기념식’을 개최했다.
인공와우 이식은 달팽이관(와우) 안에 전극을 삽입해 청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소리를 듣게 해주는 청각재활 방법이다.
서울아산병원은 태어날 때부터 들을 수 없던 환아들과 노화로 인해 소리로부터 멀어진 고령 환자들을 위해 1999년 4월 인공와우 이식을 시작해 현재까지 2,006례의 수술을 진행했다. 연간 수술 건수는 80~100례에 달하고 있다.
인공와우 이식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도 꾸준히 이어왔다. 소리를 잘 들으려면 수술 후에도 정기적으로 언어평가, 치료, 매핑(청신경 상태에 맞춰 변환되는 전기량을 설정)을 해야 하는데, 서울아산병원은 인공와우 전담간호사를 통해 환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청력 유지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등 첨단 치료도 선도적으로 도입해왔다. 최근에는 영상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청신경의 미세한 모양까지 확인한 후 정교하게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달팽이관 주변 뼈를 최소한으로 절제해 달팽이관 손상을 줄이고 수술 전 잔존 청력을 최대한 보존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난청으로 인공와우 이식을 받은 환자들과 일반인들의 대뇌피질 부피를 비교한 연구를 통해 난청 환자들의 대뇌피질은 전반적으로 감소돼 있으며 특히 청각을 담당하는 부위와 언어를 이해하는 부위, 표정을 담당하는 부위의 감소가 두드러진 점을 확인했다.
이로써 청각 기능이 저하되면 뇌를 자극하는 신호가 줄어들어 대뇌 역시 쇠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인공와우로 청력이 돌아오면 대뇌 피질이 증가하고 언어인지 능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일측성 난청 환자에게서도 인공와우 수술 후 우수한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고했다.
정종우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는 지금까지 2,000명의 고도난청 환자들에게 소리를 선사한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도 더 많은 선천성 및 후천성 고도난청 환자들이 소리로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홍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인공와우 이식은 수술 전 충분한 검사를 통해 귀 내부 구조를 자세히 확인하고 숙련된 의료진에게 수술을 받으면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거의 없다. 수술 기법은 물론 영상 기술, 기기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어 난청이 의심되면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이 성가정관 3층 수술실 입구에서 로봇수술센터(Robotic Surgery Center) 현판식을 지난 9월 7일(목) 진행했다. 부천성모병원 로봇수술센터는 2022년 12월 제4세대 다빈치 Xi 시스템을 도입한 이래, 단기간 100례, 200례를 연달아 돌파하며 우수한 임상 성과를 보이고 있다.
부천성모병원 로봇수술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최첨단 4세대 로봇수술 다빈치 Xi 시스템은 10배까지 시야 확대가 가능한 고화질 3D 입체 영상, 손 떨림 방지를 위한 보정 기능, 정교한 손 움직임 구현 등으로 더욱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또한 로봇팔 4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로봇위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넓은 수술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
이해남 로봇수술센터장(산부인과 교수)은 "부천성모병원의 로봇수술은 타 병원에 비해 도입은 늦었지만 굉장히 빠른 속도로 성장해 도입 8개월만에 200례를 돌파했다"며 "특히 비뇨기질환과 부인과질환에서 뛰어난 성적을 보이고 있어 도입 1년 안에 300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