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의약품사용자문위원회(CHMP)는 2023년 7월 17~20일에 걸친 회의에서 14개의 의약품의 승인을 추천하고 1가지 신약후보는 부정적인 의견을 냈다고 21일(현지시각) 발표했다.
CHMP는 화이자의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로 인한 하기도감염질환 예방 백신인 ‘아브리스보’(Abrysvo, 개발코드명 PF-06928316)를 60세 이상 고령층과 신생아의 감염 방지를 위한 모성(임산부) 예방접종 용도로 승인을 권고했다. 앞서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아브리스보를 60세 이상용으로만 지난 5월 31일 승인했다.
CHMP는 또 성병으로 인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형(HIV-1)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노출 전 예방(PrEP) 치료제로 비브헬스케어(글락소스미스클라인 및 화이자의 합작사)의 장시간형 작용 주사제인 ‘아프리튜드’(Apretude, 성분명 카보테그라비르 cabotegravir)를 승인 권고했다.
이 약은 다른 성병을 예방하는 것이 아니고 HIV-1이 음성이면서 콘돔 등을 사용해 안전한 성관계를 갖는 사람이 에이즈에 감염될 확률을 낮추기 위해 사전 예방용으로 투여한다. 처음엔 매달 1회 엉덩이 근육주사를 2회 맞고, 이후에는 2개월마다 1회 주사한다.
전립선암 치료제 제네릭 의약품인 ‘데가렐릭스 어코드’(Degarelix Accord (성분명 데가렐릭스 아세테이트, degarelix acetate)에 대해서도 긍정적 의견이 채택됐다. 데가렐릭스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수용체 길항제로서 페링제약이 오리지널 개발사이며 그 브랜드명은 ‘퍼마곤주’(Firmagon)다. 제네릭 신청자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어코드헬스케어(Accord Healthcare S.L.U.)다.
아일랜드에 기반을 둔 재즈마파슈티컬스(Jazz Pharmaceuticals, 나스닥 JAZZ)는 ‘Enrylaze’(엔라일라제 성분명 crisantaspase, 또는 asparaginase Erwinia chrysanthemi (recombinant)-rywn, 개발코드명 JZP458)는 혈액암의 일종인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LL) 및 비호지킨림프종의 공격형인 림프모구성림프종(lymphoblastic lymphoma, LBL)의 치료제로 CHMP로부터 긍정적인 의견을 받았다. 이 약은 2021년 6월 30일 FDA 승인을 받았다.
CHMP는 또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로 ‘이나코비’(Inaqovi 성분명 데시타빈/세다주리딘, decitabine/cedazuridine)에 대한 시판 승인을 권고했다.
데시타빈(개발코드명 ASTX727)은 DNA 메틸화 저해제(Hypomethylating Agent, HMA) 영국 캠브리지(연구소) 및 미국 캘리포니아(제품개발)에 근거를 둔 아스텍스파마슈티컬스(Astex Pharmaceuticals, 일본 오츠카제약의 자회사)가 판권을 갖고 있다. 오츠카는 2014년 4월 2일 데시타빈과 세다주리딘의 권리를 일본 에자이로부터 사들였다. 세다주리딘은 사이티딘 탈아미노효소 저해제(Cytidine deaminase inhibitor)로서 데시타빈의 분해를 억제한다.
일본 타이호제약(Taiho Oncology)과 일본 오츠카(Otsuka)가 2019년 6월부터 공동 개발해왔고 미국 캐나다 판권을 공동 보유하고 있다.
이나코비는 2020년 7월 7일 아스텍스파마슈티컬스가 ‘인코비’(INQOVI)란 브랜드로 과거 치료 여부와 원발성 또는 2차성에 상관없이 성인의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s, MDS) 및 만성 골수단핵구백혈병(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 CMML) 치료제로 FDA 승인을 얻었다.
CHMP는 또 중증 원형 탈모증 치료제인 화이자의 JAK 억제제 겸 티로신키나제 억제제 ‘리트풀로’(Litfulo 성분명 리틀레시티닙, ritlecitinib, 개발코드명 PF-06651600)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채택했다. 이 약은 지난 6월 23일 FDA 승인을 얻었다.
미국 머크(MSD)의 경구용 선택적 P2X3 수용체 길항제로서, 성인 불응성 그리고/또는 원인불명의 만성기침(refractory and/or unexplained chronic cough, RUCC) 치료제로 개발 중인 ‘리프누아’(Lyfnua 성분명 게파픽산트 gefapixant)가 위원회로부터 긍정적인 의견을 얻었다. 이 신약후보는 2022년 1월 자료 보완 요구(유효성 부족)를 받으며 FDA로부터 승인 거절을 당했다. 3상 ‘COUGH-1’ 및 ‘COUGH-2’ 임상시험에서 기침 빈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CHMP는 폐경 후 여성 및 남성의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로 이탈리아 제약사 메나리니의 경구용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selective estrogen receptor degrader, SERD) 계열인 ‘오르서두’(Orserdu, 성분명 엘라세스트란트 elacestrant)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채택했다. 이 약은 2023년 1월 27일 FDA 승인을 획득했다.
위원회는 재발성 및 불응성 다발성골수종을 앓는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얀센의 ‘탈베이’(Talvey 성분명 탈쿠에타맙, talquetamab)의 시판 승인을 권고했다. 탈쿠에타맙은 2021년 1월, EMA의 우선심사(PRIME) 대상으로 지정됐다. 탈베이는 T세포 표면의 CD3 및 GPRC5D 표적에 결합하는 이중특이항체다. 이 약은 지난해 12월 FDA에 신약승인신청서가 제출됐다.
한편 같은 날 CHMP는 6개월 이상 동안 완전반응 이상을 달성한 환자에게 BCMA와 CD3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는 얀센의 이중특이항체 다발성골수종 치료제인 ‘텍베일리’(Tecvayli, 성분명 테클리스타맙-cqyv, teclistamab-cqyv)에 대해 격주로 1.5mg/kg 투여하는(매주 1.5mg/kg 투여하는 게 최초의 승인된 허가용량) 감량 요법을 ‘유형 II 변형’(Type II variation)으로 추가 승인했다.
노바티스와 중국 베이진(Beigene 百濟生物, 百濟神州北京生物科技有限公司)의 PD-1 면역관문억제제 티스렐리주맙(tislelizumab)은 ‘테빔브라’(Tevimbra)라는 브랜드로 이전 백금 기반 화학요법 후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 편평세포암종을 가진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긍정적인 의견을 얻었다. 티스렐리주맙은 FDA에서도 같은 적응증에 대한 심사가 진행됐으나 2022년 7월 자료 보완을 요구받고 대기 중이다.
빠르게 성장하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성인 환자 치료제인 애브비의 텝킨리(Tepkinly, 미국 브랜드명은 엡킨리 Epkinly, 성분명 엡코리타맙)도 긍정적인 의견이 채택됐다. 위원회는 단독요법제로 조건부 승인을 권고했다. CD3 × CD20 이중특이항체로 2022년 5월 19일 FDA 승인을 얻었다.
위원회는 류마티스 관절염, 활동성 전신성 소아특발성 관절염, 소아특발성 다발성관절염, 거대세포동맥염,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유도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 COVID-19 치료를 위한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으로 ‘티옌느’( Tyenne 성분명 토실리주맙 tocilizumab, 오리지널은 로슈의 ‘악템라주’)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채택했다. 티옌느는 토실리주맙 최초의 바이오시밀러다.
또 나탈리주맙(natalizumab의 바이오시밀러 ‘티루코’(Tyruko)와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의 바이오시밀러 ‘예사필리’(Yesafili)가 긍정적인 의견을 얻었다. 각각 다발성 경화증, 노인성 황반변성의 적응증을 추구한다.
반면 미라티테라퓨틱스(Mirati Therapeutics)의 KRAS 억제제 ‘크라자티’(Krazati, 성분명 아다그라십 adagrasib)은 허가 획득에 실패할 위기에 놓였다.
CHMP는 크라자티가 긍정적인 위해성-유익성 프로파일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조건부 판매 허가를 위한 특정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판단했다. 기존에 나와 있는 KRAS G12C 변이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암젠의 ‘루마크라스정’(Lumakras, 성분명 소토라십, sotorasib)과 차별화되는 이점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크라자티는 2022년 12월에 FDA 승인을 받았다.
아다그라십은 KRAS G12C 변이 비소세소폐암 외에도 대장암, 췌장암 등에서 단독요법 및 다른 항암제와의 병용요법으로 계속 유효성을 평가 중이다.
이밖에 위원회는 유럽연합(EU)에서 이미 승인된 의약품 중 △프랑스 입센의 진행성 가족성 간내(肝內) 담즙정체증(progressive 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PFIC) 치료제 ‘바일베이캡슐’(Bylvay 성분명 오데빅시바트, odevixibat) △미국 머크(MSD)의 에볼라바이러스 생백신 ‘얼비보’(Ervebo) △로슈의 척수성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 치료제 ‘에브리스디건조시럽’(Evrysdi 성분명 리스디플람 Risdiplam) △미국 머크(MSD)의 PD-1 억제제 면역관문억제제인 ‘키트루다주’(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 △릴리의 JAK 억제제 ‘올루미언트정’(Olumiant 성분명 바리시티닙, Baricitinib)△일본 오노약품공업 및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은 PD-1 억제제 ‘옵디보주’(Opdivo, 성분명 니볼루맙 Nivolumab)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스파이크박스주’( Spikevax) 등 7가지 의약품에 대해 적응증 확장을 권고했다.
이 중 옵디보는 완전절제한 12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 2B기 또는 2C기 흑색종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보조요법제 단독요법으로 승인을 권고받았다.
위원회는 또 리프누아 복제품인 'Gefzuris'(미국 MSD의 중복 또는 예비 신청으로 판단됨),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개발한 만성신장질환과 관련 빈혈 성인 치료제인 ‘제스더브록’(Jesduvroq 성분명 다프로두스타트 daprodustat, 2023년 2월 1일 FDA 승인), COVID-19 치료제인 MSD의 ‘라게브리오캡슐’(Lagevrio 성분명 몰누피라비르 Molnupiravir) 등 3개 품목의 승인 신청을 철회했다.
아울러 ‘가지바로’(Gazyvaro)의 적응증을 확대하려는 추가 신청도 철회됐다. 가지바로는 항암제인 콜럼비(Columvi, 성분명 글로피타맙 glofitamab)과의 병용요법으로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사전 투여약물로 적응증 확대를 노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