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외상환자에서 중증 출혈쇼크 발생 시 다른 응급질환과 달리 ‘활력징후’가 아닌 ‘염기결핍 수치’로 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고유라·김중헌 아주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허요 외상외과 교수팀은 지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8년 동안 아주대병원 외상센터 또는 응급실을 방문한 0-∼7세 소아·청소년 외상 환자 603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한 결과 출혈쇼크의 중증도 분류(출혈량 예측)의 기준으로 ‘염기결핍’이 활력징후보다 더 정확함을 입증했다고 2일 소개했다.
외상환자의 가장 흔하면서 치료 가능한 사망 원인은 출혈로 전통적으로 초기 활력징후에 따라 4단계 출혈쇼크로 분류해 예후를 예측했다.
연구팀은 소아 외상환자에서 출혈쇼크를 염기결핍과 활력징후 기준으로 각각 4단계로 분류한 후 어느 분류가 더 정확하게 예후 즉 △사망 △초기 수혈 △초기 수술 및 색전술 등을 예측했는지 비교했다.
활력징후로는 △혈압 △맥박 △의식수준을 조합했다. 염기결핍은 혈액 pH를 정상화하는 데에 필요한 염기의 양으로,외상 환자에서 염기결핍 증가는 출혈로 인해 조직에 산소 공급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상 환자에서 염기결핍 수치가 클수록 출혈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해 치료한다.
외상환자는 의식이 없거나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병원으로 이송되는 일이 흔해 신속하게 활력징후를 측정해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소아 환자는 성장 및 발달로 인해 나이에 따른 활력징후의 정상 범위가 다양해 응급상황에서 이를 조합해 분석하기 더 어렵다. 반면 염기결핍은 혈액검사를 통한 정맥혈 가스분석으로 병원 도착 5∼10분 이내에 결과를 알 수 있다.
연구결과 두 그룹(활력징후 vs 염기결핍) 모두 1단계에서 4단계로 가면서 악화하는 예후를 보였다. 특히 전체 사망률은 6.6%였고 염기결핍 분류 4단계에서 활력징후 4단계보다 사망이 더 많았다(58.8% vs 32.7%). 또 수혈은 염기결핍 분류 3단계에서 활력징후 3단계보다 더 많이 받았다(73.8% vs 53.7%[대량수혈 37.5% vs 15.8%]). 수술은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허요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출혈쇼크 소아 외상 환자의 초기 치료에서 ‘염기결핍’ 검사로 더 간편하고 정확하게 예후를 예측하고 수혈‧수술‧색전술 시행 등 단계별 적절한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4월 연세메디컬저널에 ‘Comparison of Base Deficit and Vital Signs as Criteria for Hemorrhagic Shock Classification in Children with Trauma(소아 외상환자의 출혈쇼크 기준으로서 염기결핍과 활력징후의 비교)’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