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코로나19 사망 위험, 소득수준별 차이 없어 … 국가 무상진료 영향
  • 설동훈 기자
  • 등록 2021-02-02 08:36:03
  • 수정 2021-06-28 08:24:11
기사수정
  • 서울대 교수팀 연구 … 가난할수록 고령, 기저질환 더 많아 발병률은 높아
소득이 낮다고 해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은 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와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이진용 교수(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파견 근무), 정혜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코로나19 사망 위험을 분석, 소득수준이 사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되지는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2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사망과 소득 수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 확진자 7590명(작년 5월 15일까지)의 발생률과 치사율을 소득수준(의료급여 수급자, 건강보험 가입자)과 지역(수도권, 대구·경북, 그 외)에 따라 분석했다.

전국적인 코로나19의 발생률은 의료급여 수급자에서는 백만명 당 424.3명, 건강보험 가입자에서는 백만명 당 136.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진자 중 사망률을 의미하는 치사율은 의료급여 수급자 6.7%, 건강보험 가입자 2.7%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망 위험을 보여주는 교차비(odds ratio)를 분석했더니 의료급여 수급자가 건강보험 가입자보다 2.62배 더 높게 확인됐다. 단순 비교에서는 소득수준이 낮은 의료급여 수급자에서 사망 위험이 더 높다는 결과로 확인된 셈이다.  
 
그러나 여기에 연령, 성별, 기저질환(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암 병력) 등의 특성을 고려해 분석한 결과 의료급여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 간의 사망 위험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의료급여 수급자에서 치사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소득 자체로 인한 것이 아니라, 고령자가 많고 기저질환을 앓는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것은 물론 대구·경북 지역처럼 대규모 유행을 겪은 곳에서도 소득수준으로 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혜진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한 건강불평등은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초기부터 치료비 본인부담금을 정부나 지자체가 지원하는 등 선제적인 정책들로 다행히 좋은 결과를 보였다”며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돼 병상확보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 같은 효과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어 확산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진용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국내 방역의 성과라고 볼 수 있지만, 의료급여 수급자 중 기저질환을 앓고 있거나 고령인 환자가 많기 때문에 좀 더 세심하게 관리하면서 치사율을 낮춰나가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1차 유행이 지나가던 5월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것인 만큼 2차, 3차 유행이 지난 지금도 효과가 유지될 것인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Lancet Regional Health-Western Pacific’에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