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폭식성 섭식장애 환자 위한 디지털 인지행동치료 개발
- 인제대 서울백병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소장 김율리 교수)는 최근 영국 King's College London의 Treasure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폭식성 섭식장애를 대상으로 회복 동영상 클립을 활용한 인지행동치료를...
- 2022-07-11
-
- 재발·전이 잦은 HER2 양성 유방암, 부작용 줄인 ‘새 치료법’ 나온다?
- HER2 수용체 양성인 유방암 환자에서 치료 효과는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줄일 새 치료법이 가능성을 보였다.박연희·김지연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와 정경해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안희경 ...
- 2022-07-11
-
- 난청 치료 고실내 주사용 복합제 개량신약 개발 박차
- 한재상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난청 치료를 위한 고실내 주사용 복합제 개발 신약 개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부가 주관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2년 ‘창...
- 2022-07-08
-
- AI가 뇌경색 환자의 숨어 있는 관상동맥질환 진단한다
- 뇌경색 환자에서 숨어있는 관상동맥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AI가 개발됐다. 남효석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허준녕 영상의학과임상 연구조교수 연...
- 2022-07-07
-
- 고위험 우울증 질환, 침(타액) 코티솔 양으로 예측한다
- 고위험 우울증 질환을 침(타액) 속의 코티솔 호르몬 농도을 측정해서 예측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우울증은 하나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라기보다 유전·생물학적 특성·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
- 2022-07-07
-
- 난치성 질환 간질성 방광염에 대한 새로운 치료 길 열렸다
- 난치성 질환인 간질성 방광염(방광통증 증후군)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가능성이 열렸다. 조쌍구 건국대 KU융합과학기술원 줄기세포재생공학과 교수의 분자세...
- 2022-07-06
-
- 연세의료원, 구강균 유발 심혈관 질환 예방 물질 찾는다
- 세브란스병원과 연세대 치과대학병원이 구강 세균,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심혈관 질환 간 연관성과 더불어 질환을 예방하는 물질을 밝히는 사업을 펼친다. 이번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이 주관하는 ‘202...
- 2022-07-06
-
- 3세대 세라믹 관절면 활용 고관절 치환술 장기간 안전·효과성 입증
- 이영균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이 3세대 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받은 대퇴골두증 환자를 대상으로 16년 추적관찰 결과 안정성과 효과성을 입증했다. 특히, 수술 받은 환자...
- 2022-07-05
-
- 고혈압-감염성 심내막염 상관 관계, 세계 첫 규명
- 감염성 심내막염은 심부전, 패혈성 색전증, 뇌졸중, 장기부전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하며 병원 내 사망률이 20% 정도로 높은 치명적인 감염질환이다. 그런데 최근 전세계적으로 심내막염의 발생...
- 2022-06-30
-
- 막힌 뇌혈관, 뚫을 수 없다면 새로 만든다
- 뇌로 가는 혈관이 막혀 마비가 오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응급상황이 생기면 혈전용해술, 혈전 제거술 등을 통해 막힌 혈관을 빨리 뚫어야 한다. 늦어질수록 심...
- 2022-06-29
-
- 달팽이관 없는 기형 인공와우 이식 효과, 장기 추적관찰 통해 세계 최초 입증
- 최병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김봉직 세종충남대병원 교수 공동연구)이 달팽이관이 형성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인공와우 이식술의 장기 성적 연구결과를 세계 최초 발표해, 그동...
- 2022-06-29
-
- 손발 커지는 말단비대증 , 부정맥·심부전 발병률 높다
- 말단비대증이 사망을 포함한 심혈관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철영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말단비대...
- 2022-06-28
-
- 부러진 뼈, 3D 프린팅으로 맞춤 금속판 개발 첫 성공
- 신승한(제1저자)·정양국(교신저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이 ‘영상 정복 기반 원형 맞춤형 골절 금속판’에 대한 연구를 세계 최초로 발표...
- 2022-06-23
-
- 특정 표현형의 신경교종, 생존율 낮다
- 미만성 신경교종이 재발하면 종양세포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고, 그중 특정 표현형을 가진 종양은 예후가 좋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표현형에 대해 표적치료를 실시하면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킬 ...
- 2022-06-23
-
- 붉거나 갈색·거품 많은 소변 본다면... ‘사구체신염’?
- 붉거나 갈색·거품 많은 소변을 보고, 얼굴이나 다리가 붓는다면 ‘사구체신염’을 의심해보고 신장내과 진료를 받아보면 좋다. 신장 내 사구체는 우리 몸에서 요독을 걸러주고 수분과 전해질을 조절하는...
- 2022-06-23
-
- 당뇨병 환자 망막병증 시력저하 원인 찾았다
- 국내 30세 이상 성인의 약 15%, 65세 이상 성인 약 30%가 당뇨병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당뇨병의 대표적인 안과 합병증인 ‘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한 시력...
- 2022-06-22
-
- 심전도 기반 관상동맥 석회화 탐지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 윤덕용 연세대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최동훈)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교수, 한창호 기초전공의 팀이 연구를 통해 심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
- 2022-06-21
-
- 암 치료 환자에서도 혈전 발생 치명적 주의해야
- 코로나19 백신 합병증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는 혈전(혈관 안을 흐르던 혈액 일부가 굳어 생긴 피떡)이 암 치료 환자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환자 치료전 혈전색전증 발생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
- 2022-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