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톨릭대, mRNA 전달 지질 나노입자 개발로 폐 전이암 억제 효과 입증
- 구희범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 교수(교신저자, 가톨릭대 의대 의생명과학교실)와 박지선 박사(공동 제1저자), 이...
- 2025-09-15
-
- 윤덕현 서울아산병원 교수팀, 차세대 CAR-T 치료제 연구 국책과제 선정
-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은 전체 림프종 환자의 30~40%를 차지하는 성인에서 가장 흔한 혈액암이다. 상당수는 표준 항암화학요법...
- 2025-09-15
-
-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전 2가지 검사 간 장기적 사망·심근경색 발생 차이 없어
- 중등도 관상동맥협착증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40~70% 막힌 질환이다. 이 질환의 진단·치료에 이용되는 2가지 검사 도구(분획혈류예비력, 혈...
- 2025-09-15
-
- 서울부민병원, 환자혈액관리(PBM) 프로그램으로 고관절 수술환자 수혈률 절반 이상 줄여
- 서울부민병원 정형외과 연구팀(유준영·유준일·하용찬)은 ‘환자혈액관리’(Patient Blood Management, PB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고관절 수술에서 수혈...
- 2025-09-12
-
- 국립암센터, 재발성 및 불응성 고형암 대상 CAR-T세포 치료제 개발 본격화
- 국립암센터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기술개발 연구단’(단장 엄현석)」은 2025년도 연구과제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고형암 대상 CAR-T세포 치료제...
- 2025-09-12
-
- 삼중음성 유방암에 환자 유래 신항원 투여 …종양 성장 억제, 전이 감소
- 표적치료제가 거의 효과가 없는 삼중음성유방암에서 새로운 맞춤형 면역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 성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서울대·KAIST 공...
- 2025-09-12
-
- 가톨릭스마트헬스케어센터, 감염병 대응 비대면 진료 플랫폼 ‘CiNFACT’ 최초 공개
- 가톨릭대 의생명산업연구원 가톨릭스마트헬스케어센터는 감염병 대응에 특화된 비대면 진료 플랫폼 ‘CiNFACT’ 시제품을 최초로 공개했다. 동시에 이 ...
- 2025-09-12
-
- 국립암센터, 코스코인터케어에 수술용 형광 표지자 기술 이전
- 국립암센터는 9일 코스코인터케어와 위암·대장암 수술에 활용되는 ‘형광 수술표지자’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국립...
- 2025-09-11
-
- 장세헌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경구면역요법으로 ‘달걀 알레르기 치료 기전’ 규명
- 장세헌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이 달걀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들에게 경구면역요법을 적용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과학적으로 규명...
- 2025-09-11
-
- 서울대병원 컨소시엄, 소아 희귀질환 환자맞춤형 혁신치료 플랫폼 개발 추진
- 서울대병원이 2025년도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연구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소아 희귀질환 맞춤형 혁신치료 플랫폼 개발과 N-of-1 임상시험’을 추진...
- 2025-09-10
-
- 폭음하는 여성,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 3.7배
- 술을 많이 마시는 여성일수록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주민욱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
- 2025-09-10
-
- 조중현 아주대 교수팀, 세계 최초 ‘파킨슨병 병리 재현하는 인간 뇌 어셈블로이드’ 개발
- 조중현 아주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팀이 파킨슨병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세계 최초의 연구 플랫폼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인간 전분...
- 2025-09-10
-
-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 … 조기 발견 가능성 높여, 진단 정확도 94%
- 전문가 진단에 앞서, 스마트폰을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천근아·김휘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정...
- 2025-09-10
-
- 국립암센터, 암세포로 바뀌는 ‘결정적 순간’ 찾아 되돌리는 핵심 유전자 발굴
- 신동관 국립암센 생물정보연구과 교수는 조광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암세포를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 ‘복...
- 2025-09-09
-
- 삼성서울병원, 인공지능으로 조기 비소세포폐암 재발 예측 AI모델 ‘레이더(RADAR)’ 개발
- 김홍관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교수, 정현애 혈액종양내과 교수팀은 조기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재발 위험을 최대 1년 앞서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 &ls...
- 2025-09-08
-
- 신현진 건국대 성형안과 교수 ‘동양인 맞춤형 보톡스 주사법 제시’
- 신현진 건국대병원 안과 교수팀이 눈썹주름근의 해부학적 위치를 정밀 분석해, 동아시아인에 최적화된 보톡스 주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보툴...
- 2025-09-08
-
- 서울아산병원, 노년 입원 환자 위험도 조기 판별 ‘급성기 노인 위험 척도’ 국내 첫 개발
- 노년 환자들은 입원 후 섬망, 낙상, 욕창, 합병증, 원내 사망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데 이은주·백지연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장건영 전문...
- 2025-09-08
-
-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된 펩타이드 MOTS-c, 당뇨병 진행 늦춘다
- 조영민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팀이 췌장 베타세포 노화를 억제해 당뇨병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에서...
- 202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