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약사회, 정청래·나경원 의원 등 약사가족 22대 국회의원 축하연
- 대한약사회는 약사출신과 약사를 가족으로 둔 정청래(더불어민주당), 나경원(국민 힘) 등 16명의 국회의원을 초청, 축하연을 진행한다. 19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진행되는 축혀연에는 초청된 22대 국회...
- 2024-06-18
-
- 무릎관절염 근위경골절골술 후 금속판 제거하면 통증 줄고 기능 개선돼
- 무릎관절염의 중기 혹은 말기 대표적인 수술적 치료법인 근위경골절골술 후 이식한 금속판을 제거하면 통증 감소 및 기능을 유의미하게 개선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증의 무릎관절염 환자는 근...
- 2024-06-17
-
- 김유선 아주대 생화학교실 교수 제23회 한국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 김유선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가 지난 14일 서울 몬드리안 호텔에서 열린 제23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에서 ‘학술진흥상’을 수...
- 2024-06-17
-
- 필러 시술 합병증 실명 예방을 위한 눈구석동맥에 대한 해부학적 이해 도출
- 쁘띠성형을 위한 필러 수술 시 필러가 혈관 내 주입돼 눈동맥을 막아 실명을 일으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가 나왔다. 신현진 건국대병원 안과 교수는 국제 성형외과 학술지 ‘Plastic and ...
- 2024-06-17
-
- 인공지능과 재생의료로 화·생·방 재난 대응 나선다 … 최초의 軍-學-病-政 연구
- 서울아산병원이 울산대 의대, 육군사관학교와 함께 인공지능 및 재생의료 기술을 활용한 화·생·방(화학·생물학·방사능) 재난 대응에 나선다. 문경준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교수, 신동명...
- 2024-06-17
-
- 김동현 고려대 교수, ‘RCI001’의 환경성 건성안 치료 효과 입증
-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가 루다큐어의 염증성 안구질환 신약후보물질인 ‘RCI001’의 환경성 건성안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김 교수는 이전 연구들을 통해 RCI001이 여러 안구표면 염증모델에서 ...
- 2024-06-17
-
- 파킨슨병 FP-CIT PET 진단검사 통해 초기 치매로 전환 가능성 예측
- 정석종·전민영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정용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이태인 학생 연구팀은 파킨슨병 진단검사로 초기 치매 전환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 2024-06-17
-
- 통증 없으면 발견 어려운 소아 ‘선천성 진주종’ … 고막파열 위험, 조기 발견과 수술 중요
- 소아에서 상당히 드물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선천성 진주종이 있다. 진주종은 외부로 자연 배출돼야 하는 상피조직(피부조직)이 고막 안쪽으로 침입해 각질(keratin)을 형성하면서 주위의 뼈나 조직을 파괴...
- 2024-06-17
-
- 환자단체연, 의협 및 서울의대 비대위 집단휴진 강행 규탄
-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17일 대한의사협회와 서울의대 비대위의 집단 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 강행 방침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이를 강하게 규탄했다. 의사협회는 정부에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 2024-06-17
-
-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최신 치료법과 기능회복 경향 집대성 논문 발표
-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가 ‘최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최신 경향 및 향후 발전 방향’을 비롯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전후의 기능 회복 치료의 최신 ...
- 2024-06-14
-
- 한국인 특징 뇌전증 유발 유전자 찾았다 … SCN1A 등 11개 다발 유전자 확인
- 한국인에서 뇌전증을 유발하는 유전자 실마리를 찾았다. 이번 연구에 따라 한국인의 뇌전증 맞춤 치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강훈철·김세희 연세대 세브란스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교수와 최종락·이승...
- 2024-06-14
-
- 요즘 심상찮은 백일해 증가세, 올들어 1654명 감염 … “임신부‧아기보호자 등 빠른 백신 접종 중요”
- 1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 들어 전국 각지에서 보고된 백일해 환자는 1654명이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같은 기간 누적 환자가 219명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올해 환자가 7배 넘게 많이 발생하고 있다. 유...
- 2024-06-14
-
- 이주노동자부터 근이영양증 환우까지...간호돌봄 영역확대
- 대한간호협회가 창립 100주년을 맞아 출범시킨 간호돌봄봉사단이 간호돌봄이 필요한 이주노동자부터 근이영양증 환우들까지 다양한 분야로 활동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간호돌봄봉사단은 지난 8일 ...
- 2024-06-14
-
- 스탠포드대 연구팀, 'CAR-T' 2차암 발병 직접연관성 발견 못했다
- 스탠포드 대학 연구팀은 CAR-T 세포 치료제의 2차암 위험과 관련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에 12일 발표된 'CAR T 세포 치료 후 2차 종양 및 T 세포 림프종의 위험' 연구...
- 2024-06-14
-
- 환자에게 올해는 고통 그 자체...의료계 휴진결정 철회 촉구
- 의정 갈등 속에 고스란히 모든 고통을 떠안고 있던 환자단체들이 의료계 휴진 결정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92개 환자단체는 13일 국회 정문앞에서 의료계 집단 휴진 철회...
- 2024-06-13
-
- 분당차여성병원 소아전문 응급의료센터 경기 동남권역 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 선정
- 차 의과학대 분당차여성병원이 경기도 ‘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중증 소아 응급 환자가 24시간 전문적인 응급 의료 서비스를 ...
- 2024-06-13
-
- 중년의 마라톤, 심장에는 ‘독’ 될 수도 … 운동유발성고혈압 일으켜, 돌연사 위험 주의
- 마라톤과 같은 고강도 달리기가 자칫 중년의 심장에는 독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박경민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김영주 성신여대 운동재활복...
- 2024-06-13
-
- 독소루비신 항암제의 ‘심장 독성’에 관여하는 TBL1X 유전자 역할 규명
- 항암제인 독소루비신(doxorubicin)이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 새로운 기전이 밝혀졌다. 이승현 연세대 의대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교수, 오재원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 최효경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
- 2024-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