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복지공단은 산재환자의 빠른 사회복귀를 위해 전문재활치료 전달체계를 강화하는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우수 의료기관 인증제를 도입하고, 급성기 전문재활치료 연계를 확대한다.
근로복지공단 박종길 이사장은 경기도 안산의 두손병원을 시범사업 첫 인증기관으로 선정하고, 인증서를 직접 전달했다. 이 사업은 수술 후 산재환자가 재활 의료기관에서 신속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 시범사업은 급성기 의료기관과 재활인증 의료기관 간의 유기적 협력을 기반으로 한다. 수술이 끝난 산재환자는 비용 부담 없이 재활인증기관으로 옮겨져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 치료와 보상을 넘어 사회 복귀 중심의 산재보험 역할을 확대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주요 대상은 뇌혈관, 척추 및 관절 질환 산재환자다. 조기 재활은 환자의 신체 기능 회복과 직업 복귀율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단 관계자는 “조기 재활치료는 산재환자의 건강과 경제적 안정을 위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박종길 이사장은 “저출생 고령화로 노동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일터로의 복귀는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이번 사업이 우수 의료기관 중심의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21개의 의료기관이 인증받았으며, 시범사업의 성공 여부에 따라 확대가 검토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산재환자의 조기 치료와 사회 복귀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