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동화 수원 윌스기념병원 원장
기존에 시행하던 척추내시경수술은 척추관협착증 치료시 한계에 부딪혔다. 척추관협착증은 인대나 뼈가 두꺼워지면서 자라는 경우, 탄력을 잃은 추간판(디스크)의 간격이 좁아진 경우, 척추뼈가 불안정해 신경통로가 좁아진 경우 등 원인과 발생 위치가 다양하다. 이로 인해 수술기구의 접근이 어려워 근본적인 발병 원인을 제거하는 데에는 내시경수술보단 절개법이 효과적이었다.
최근 도입된 척추내시경수술법은 등쪽에 작은 구멍을 두 개만 뚫어 한쪽은 내시경, 다른 한쪽에는 수술기구를 삽입해 내시경으로 보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조직만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번 연구결과 새 척추내시경수술법은 절개 범위를 최소화해 정상조직이 거의 손상되지 않고 회복이 빨랐다. 미용적인 측면에서 환자만족도가 높았다.
허 원장은 “두 개의 작은 구멍을 이용해 수술하므로 집도의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며 “척추관협착증뿐만 아니라 중증 디스크탈출증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