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협 회장선거 예고된 흥행 실패 … 유권자, 전체회원 39% 불과
  • 박정환 기자
  • 등록 2015-03-01 17:49:59
  • 수정 2015-03-04 17:57:02
기사수정
  • 11만2981명 중 4만441명만 연회비 납부, 신뢰도 바닥 … 일부 의사, 후보 누군지도 몰라

제39대 대한의사협회 회장 선거가 3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유권자 수가 전체 회원의 3분의 1 수준에 그쳐 새 회장과 집행부의 대표성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가뜩이나 유권자 비율이 낮은 상황에서 투표율까지 저조할 경우 대표성 문제는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의협은 지난달 26일 의협 회장 선거 선거인 명부 확정 공고를 통해 선거 유권자 수는 총 4만4414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의협 전체 신고회원 11만2981명의 39.3%에 불과한 숫자다.
지역별로 서울특별시의사회는 3만5251명 중 1만3395명, 경기도의사회는 1만8774명 중 5734명, 부산광역시의사회는 8194명 중 3601명, 대구광역시의사회는 6116명 중 3357명 등 전체 신고회원의 과반수 이상을 넘긴 곳을 찾기 힘들었다.

선거권 기준이 ‘최근 3년간 회비 납부자’에서 ‘최근 2년 연속 회비 납부자’로 완화됐는데도 유권자 비율이 이렇게 낮은 것은 그만큼 회비 납부율이 저조함을 의미하고, 이는 의협에 대한 신뢰도 하락과 직결된다. 

지난해 기준 개원의는 33만원, 봉직의는 25만1000원, 인턴·레지던트는 14만5000원을 의협 연회비로 납부해야 한다. 여기에 구의사회, 시의사회, 개인 소속 학회 등의 회비를 합치면 1년에 총 100만원 이상이 지출된다. 하지만 최근 의협에 대한 의사들의 민심이 떠나면서 연회비 납부율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4월 전국교수협의회가 의협 회비 납부 거부 의사를 밝혔을 때 의협이 적극 대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올해 선거는 완화된 기준 덕분에 유권자 총수가 제38대 회장 선거 당시 3만6083명보다 8331명 늘었다. 이는 2001년 직선제 시행 이후 가장 많은 숫자이지만 비율로는 여전히 50%에 한참 못 미친다. 2001년 첫 회장 선거 당시 유권자 비율은 총 신고회원 수의 78.60%에 달했다.

투표율도 50%를 넘기기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그동안 의협 회장 선거 투표율은 40~50%선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보궐선거 때 28.96%까지 곤두박질쳤다. 의협이 야심차게 시행한 온라인투표도 기대보다 투표율이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낮은 유권자 비율과 투표율은 현재 의협을 바라보는 개원 의사들의 심정을 대변한다. 개인 정형외과 원장 Y모 씨는 “의협은 자신들이 의사 전체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주장하지만 정확히 회원들을 위해 무슨 일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며 “말은 그럴듯 하지만 정작 바뀐 것은 찾아보기 어렵고 절망적인 의료환경은 도무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어 “특히 노환규 회장 시절 사사건건 부딪히는 집행부와 대의원들의 모습을 보면서 허탈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당장 병원 문을 닫게 생겼는데 의협 회장 선거가 무슨 의미가 있겠냐는 반응도 있었다. 내과 원장 S모 씨는 “솔직히 의협 회장 후보가 누군지도 아직 잘 모르겠다”며 “개원 초기만 해도 이런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병영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관심이 멀어진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상황이 이렇다보니 매년 납부하는 연회비도 부담스럽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투표율을 높이고 회장 및 집행부의 대표성을 회복하려면 연회비를 납부한 회원에게만 투표권을 주는 현재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몇년 전부터 의협 회장 선거가 의사들의 수장을 뽑는 과정이 아닌 집행부를 포함한 일부 기득권층의 ‘그들만의 리그’로 변질된 느낌이 든다”며 “회원들의 지지가 없으면 아무리 뛰어난 후보가 나와도 대표성을 얻기 힘들고, 정부 정책에 대해 제대로 된 목소릴 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협은 정체성을 확실히 하고 구성원간 충돌로 인한 잡음을 해결해 회원들의 마음을 돌려놔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jpg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