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정책사회
23억원 쏟아부은 복지부 애플리케이션 ‘무용지물’
  • 박정환 기자
  • 등록 2013-09-24 18:58:26
  • 수정 2013-09-27 10:22:37
기사수정
  • 45개 중 월 다운로드 건수 1000건 이상 16개 불과 … 내용중복·오류 많아

보건복지부가 23억원을 들여 제작한 애플리케이션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조사결과 이용률이 매우 저조할 뿐만 아니라 관리상태도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은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보건복지부 및 산하기관 애플리케이션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지금까지 제작·배포된 앱은 총 45개이며, 제작 비용은 23억원에 달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중 다운로드 건수가 1000건 이상인 앱은 16개에 불과해 이용률도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월평균 다운로드 수는 100회 이하 10개, 101~300회 7개, 301~500회 4개, 501~1000회 8개, 1000회 초과 16개로 조사됐다.

신 의원은 “필요한 콘텐츠가 부족하거나 내용이 중복되는 앱이 많다”고 지적했다.
‘국민연금’ 및 ‘M건강보험’ 앱은 국민연금공단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소개나 용어설명이 대부분인 반면 조회·민원서비스 등 실생활에 필요한 콘텐츠는 부족했다.
‘국가건강정보포털’ 앱은 다른 메뉴에서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검색기능도 부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스모크프리’는 2010년 금연 시도 및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앱이다. 그러나 1년 만에 비슷한 기능을 보유한 ‘금연길라잡이’라는 앱이 개발돼 효율성이 감소했다.
‘건강갤러리’는 건강문고 메뉴를 선택할 때 멈춤 현상이, M건강보험 및 스모크프리는 화면크기가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다.

신 의원은 “이같은 현상은 개발된 앱이 다양한 스마트기기에 최적화돼 있지 않아 발생하는 것”이라며 “배포 후 1년 이상 된 27개의 앱 중 만족도조사를 실시한 것은 1개, 중간점검은 2개에 그치는 등 사후관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부분의 앱은 장애인을 위한 화면낭독, 자막, 수화 등 기능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에 따르면 공급자는 사용자의 접근성이 동등하게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신 의원은 거액을 들여 제작한 앱의 이용률이 저조한 이유로 △부실한 콘텐츠 △기능적 문제와 부실한 사후관리 △장애인에 대한 배려부족 등을 꼽았다.
그는 “보건복지부와 산하기관은 앱을 개발하기 전 주된 사용자층과 수요를 정확히 분석한 뒤 사업의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며 “이미 제작된 앱은 오류를 즉시 수정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 후 정기적으로 만족도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계약업체의 유지보수 및 중간점검 실태를 파악한 뒤 부실한 업체는 삼진아웃제 등 제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앱의 콘텐츠 부실이나 떨어지는 정교성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들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IT 업계 관계자는 “시스템이 다소 복잡하더라도 앱 45개를 제작하는 데 총 23억원이 소요됐다면 민간 업체로서는 고비용으로 간주된다”이라며 “비용 대비 효용성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감시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12.jpg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