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계 글로벌 제약사 비원메디슨(BeOne Medicines, 옛 베이진)는 B세포 림프종 2(BCL2) 저해제 계열 외투세포(外套細胞) 림프종 치료 신약후보물질인 ‘손로토클락스’(sonrotoclax, 개발코드명 BGB-11417)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됐다고 26일(현지시각) 발표했다
손로토클락스는 브루톤 티로신 인산화효소(BTK) 저해제 치료 후 진행한 성인 재발성 또는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 치료 신약후보다. 차세대 BCL2 저해제의 일종으로 1세대 BCL2 저해제인 베네토클락스(Venetoclax, 애브비의 ‘벤클렉스타정’)에 저항성을 보이는 환자를 겨냥하고 있다.
외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MCL)은 공격적인 비 호지킨 림프종의 한 유형으로, 전 세계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들의 5% 정도(약 2만8000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년 생존율은 50% 정도여서 미충족 의료수요가 존재한다.
손로토클락스의 신약승인신청은 글로벌, 다의료기관, 단일그룹, 라벨공개 방식으로 진행된 1/2상 ‘BGB-11417-201’ 임상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이뤄졌다. 이전에 항CD20 제제 그리고/또는 BTK 저해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전력이 있는 성인 재발성 또는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 환자 총 125명이 피험자로 참여했다.
이 임상에서 손로토클락스는 독립사외심사위원회(IRC)가 설정한 전체반응률 1차 평가지표를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집중적인 치료를 받은(heavily pretreated)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이 입증됐다는 의미다.
아울러 완전반응(CR), 반응지속기간(DOR), 무진행 생존기간(PFS)을 포함한 일부 2차 유효성 평가지표도 유망한 결과가 나왔다고 비원메디슨은 설명했다. 양호한 내약성을 내보였고, 위험성은 관리할 만한 수준의 것으로 평가됐다.
비원메디슨은 ‘BGB-11417-201’ 임상의 전체 결과를 다음달 6~9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최될 제 67차 미국 혈액학회(ASH) 연례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유럽의약품청(EMA)에도 신약승인신청을 낼 계획이다. 현재 손로토클락스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 치료제, 재발성 또는 불응성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림프구 림프종(CLL/SLL) 치료제로 승인받기 위한 승인신청 건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약물평가중심(CDE)에 접수돼 심사가 진행 중이다.
비원메디슨의 라이 왕(Lai Wang) 글로벌 연구‧개발 담당대표는 “손로토클락스가 짧은 기간 동안 ‘혁신치료제’(2025년 10월 15일)에 이어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받는 놀라운 진행 속도를 보였다”며 “이러한 페이스는 도출된 자료의 강력함과 함께 재발성 또는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 환자들의 충족되지 못한 의료 수요의 시급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손로로클락스는 신속하고, 깊이 있고, 지속적인 반응을 내보인데다 안전성 프로필이 관리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나 잠재적인 계열 최고의 B세포 림프종 2 저해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라이 왕은 이 회사의 혁신적 치료자산인 BTK 억제제 ‘브루킨사’(성분명 자누브루티닙, zanubrutinib)과 BTK 분해제(degrader) 후보물질 ‘BGB-16673’가 혁신신약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덧붙였다.
BTK 분해제는 BTK 저해제(inhibitor)와 다른 개념이다. BTK 분해제는 BTK 단백질을 아예 제거하는 반면 BTK 저해제는 BTK의 활성를 억제한다. BTK 저해제가 특정 돌연변이로 인해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 BTK 분해제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한편 손로토클락스는 베네토클락에 비해 5~14배에 달하는 BCL2 억제 능력을 갖고 있다. 반감기는 손로토클락스가 4~5시간으로 짧은 반면 베네토클락스는 이 계열의 다른 약물과 마찬가지로 이보다 긴 편이다(특정되지 않음). 베네토클락스는 저항성이 생기면 약효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손로토클락스는 베네토클락스가 저항성을 보인 변이에서도 상당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종양용해증후군 부작용에 대한 위험은 손로토클락스가 베네토클락스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베네토클락스는 항 CD20 제제와 BTK 억제제와 병용하는 요법이 시행되는 반면 손로토클락스는 자누브루티닙과 병용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