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전체뉴스
삼성서울병원-KIST, 생분해성 신경유도관과 전기자극 결합해 안면신경 재생 성공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11-20 09:06:02
기사수정
  • 조영상 이비인후과 교수, 제15회 세계안면신경학회 ‘최우수연제상’ … 추가 수술 필요 없고, 공여부 흉터 없어

자가신경 이식 없이 안면신경을 재생하는 새 치료법이 개발됐다. 조영상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정영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팀은 동물모델(쥐)에 생분해성 소재의 신경 유도관을 이식하고 전기자극을 병행함으로써 안면신경을 재생하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안면신경마비는 얼굴 근육을 움직이는 신경이 손상돼 한쪽 얼굴이 처지거나 움직이지 않는 질환이다. 환자는 눈이나 입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어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겪는다.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우울증이나 대인기피 등 심리적 위축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손상된 안면신경을 치료할 때는 신체의 건강한 부위에서 신경을 떼어 이식한다. 하지만 공여부 흉터나 감각 저하 같은 부작용이 따를 수 있어 한계로 지적돼 왔다.

 

이에 연구팀은 신경 유도관을 체내에서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 소재로 제작해 손상된 신경의 양 끝을 연결함으로써 신경이 스스로 자라도록 유도했다. 유도관은 그 안에서 신경이 재생되는 동안 외부 충격을 막는다. 여기에 전기자극을 더해 신경세포 성장 속도를 높였다. 이로써 추가 수술 가능성을 줄였고, 공여부 합병증 부담을 덜었다. 

 

연구 결과, 자가 신경 이식과 유사한 수준의 활발한 신경 재생이 확인됐다.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조 교수는 지난 9월 스페인에서 열린 제15회 세계안면신경학회에서 ‘최우수 연제상’을 받았다. 이 학회는 4년마다 열리는 안면신경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회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안면신경뿐 아니라 팔·다리와 같은 말초신경 손상 치료 전반으로 확장 가능한, 차세대 신경재생치료 플랫폼의 토대”라며 “임상연구를 거쳐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화약품
한국얀센(존슨앤드존슨)
동국제약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