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은 국내 10대 사망원인에 속한다. 중환자 치료기술 진보에도 30일 입원한 패혈증 환자 중 25~30%가 사망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다. 생명을 위협하는 패혈증이 장기간 흡연과 밀접한 관계성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상훈·이경화·이은화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팀은 한 번도 흡연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해 30갑년 이상 흡연한 그룹은 패혈증 발생 위험도가 약 1.34배 높았다는 연구 결과를 24일 내놓았다. 연구팀은 만성질환이나 생활습관과 무관하게 흡연 자체가 패혈증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유효한 위험 요소임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정기 건강검진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삼았다. 2009년 1~12월까지 검진에 참여한 약 423만명을 대상으로 흡연 여부와 이후 10년간 패혈증 발생 여부를 추적 조사했다.
해석 오류를 줄이기 위해 연구팀은 조사 기간 전, 또는 조사 후 1년 이내 발생한 패혈증 환자 등을 제외한 총 388만1958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했다. 이를 흡연 경력이 없는 비흡연자 234만2841명, 과거 흡연자(현재 중단 중 또는 이전 흡연 이력 보유자) 53만9850명, 현재 흡연자 99만9267명으로 세분했다.
연구팀은 모든 그룹에서 흡연 누적량이 많아짐에 따라 패혈증의 1000 인년 발생률(incidence rates (IRs) per 1000 person-years)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했다.
과거 10갑년 미만으로 흡연을 시행했던 그룹은 22만9757명 중 2910건의 패혈증을 보여 IR 수치 1.25를 기록했으나, 과거 20갑년 이상 흡연을 시행했던 그룹은 16만3323명 중 6496건 패혈증이 발생해 IR 4.08에 달했다.
현재 흡연을 유지하는 그룹도 상황은 비슷했다. 10갑년 미만으로 흡연 중인 35만7115명 중 3144건의 패혈증을 보여 IR 0.86을 기록했으나 20갑년 이상은 34만1904명 중 1만962건의 패혈증을 겪어 IR 3.26으로 높아졌다.
연구팀은 건강검진 시행 당시의 흡연 또는 비흡연 여부를 따지지 않고 평생 누적하여 시행한 흡연량이 패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도 살폈다.
그 결과, 현재 흡연 여부와 무관하게 흡연 기간이 길수록 패혈증 발생 위험도가 비례해 증가함을 확인했다.
모든 연구 대상자를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BMI), 알코올 섭취 등 여러 변수를 모두 대입해 조건을 보정하고 단순 흡연 지속기간으로만 패혈증 발생 상관성을 따졌다.
234만2841명에 달하는 비흡연 집단을 기준점인 위험도 1.0으로 놓았을 때, 흡연 30갑년 이상인 집단 24만9001명은 1만1347건의 패혈증이 발생해 위험도 1.344를 기록,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했다(95% Cl, <0.001).</p>
연구팀은 시간이 지날수록 흡연 기간(갑년, 하루 평균 흡연하는 담배갑수에 흔연 연수를 곱한 값)에 따라 패혈증 발생확률이 높아짐도 확인했다.
10년에 걸친 추적관찰 기간 중 30갑년 이상 흡연을 유지한 대상군에서 패혈증 발생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함을 시각화해 보고했다.
연구를 주도한 한상훈 교수는 “연구를 통해 흡연이 패혈증 발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임을 증명했다. 만성질환 여부 또는 생활습관과 무관하게 흡연 자체가 패혈증 발생을 높이며, 흡연 유지기간과 흡연량에 비례해 위험도 역시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30갑년 이상 흡연을 유지한 경우, 지금 금연 중이라도 65세 이상이라면 패혈증 발생 위험성을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문은 SCI급 학숧지 ‘Journal of Epidemiology and Global Health’(IF )에 ‘흡연과 패혈증 발생 상관관계에 대해 국가 건강 검진 자료를 이용한 한국 400만 성인의 10년 추적 연구’ 라는 제목으로 수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