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암 사망 5위 췌장암 진료 가이드라인, 국내 최초로 제정
- 국립암센터는 대한방사선종양학회·대한병리학회·대한복부영상의학회·대한소화기암학회·대한종양내과학회·대한췌장담도학회·대한핵의학회·한국간담췌외과학회 등 8개 학회와 한국 췌장암 진료 가...
- 2021-03-24
-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간편 예측 가능한 임상공식 개발
- 국내 연구팀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간편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임상공식을 개발했다. 공식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인자를 먼저 분석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개발한 것으로 진찰소견(이학...
- 2021-03-24
-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지속형-폴리머 약물스텐트, 분해형과 차이 없어
-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환자에게 시술하는 스텐트에 적합한 약물용출 방식을 국내 연구진의 대규모 연구를 통해 규명됐다. 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박경우·강지훈 교수)은 급성관상동맥증...
- 2021-03-23
-
- 뇌 발달장애 초래 희귀질환 ‘소멸백질병’, 치료제 개발 길 열려
- 희귀유전질환 및 뇌 발달장애인 ‘소멸백질병’의 질환동물모델이 세계 최초로 개발돼 이를 통한 병리 기전 규명으로 치료의 길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소멸백질병(Vanishing White Matter Disease)은 백질뇌증, ...
- 2021-03-22
-
- 장시간 근로, 근로자의 우울증상·자살충동 위험 높여
- 장시간 근로가 우울증상과 자살충동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규만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최은수 교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14·2016·2018...
- 2021-03-22
-
- 뇌심부자극술 후 결과 인공지능으로 예측 가능
- 파킨슨병 뇌심부자극기 이식수술 중 인공지능으로 미세전극 측정신호를 분석하면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백선하·김희찬·선석규 서울대병원 교수와 박광현 세종충남대병원 교수팀...
- 2021-03-22
-
- 골다공증 칼슘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성 높여
-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칼슘제를 복용하는 경우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등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명승권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대학원장 ...
- 2021-03-22
-
- 뱃살 이용한 유방재건수술 합병증 고위험 요인 확인
- 유방암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유방재건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의 발생률과 위험요인을 분석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방재건수술은 유방암 수술로 유방을 절제한 환자들에게 미용적 ‧ 심리적 문제는...
- 2021-03-22
-
-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낮을수록 파킨슨병 발병위험 증가
-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이 낮을수록 파킨슨병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박주현·김도훈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한경도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팀...
- 2021-03-18
-
- 희귀난치성 유전피부질환, 새로운 치료법 제시돼
- 희귀난치성 유전피부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이 제시됐다. 이상은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교수와 김수찬 용인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교수팀은 이영양형 수포성 표피박리증(Recessive Dystrophic Epidermolysi...
- 2021-03-18
-
- 인체 축적 잔류성 오염물질, 폐암 발생위험 높여
-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 폐암 발생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생산과 사용이 금지된 지 수십 년이 지난 시점에도 여전히 생체에서 검출되고 저농도라도 노출되면 인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
- 2021-03-18
-
- C형 간염 치료제, 간암 환자 치료에도 효과적
- C형 간염에 사용되는 치료제가 간암 환자의 치료에도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정한 건국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C형간염 치료제가 간세포암종(간암) 환자에서도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17...
- 2021-03-17
-
- 만성질환과 과로,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 1.58배
- 만성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이 장시간 노동하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1.58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모열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와 이완형 가천대학교 길병원 직업환...
- 2021-03-16
-
- 임신 앞둔 여성암 환자, 안전한 가임력 보존 방법 찾아
- 임신을 앞둔 유방암과 자궁내막암 환자의 가임력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구승엽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팀(김훈, 김성우 교수)은 여성호르몬 의존성 암 환자가 향...
- 2021-03-16
-
- 악성 뇌종양 침윤억제제 개발 실마리 찾아
- 악성 뇌종양의 주변 정상조직 침윤을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박종배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와 홍준희 산학협력조교수, 이승훈 을지대학교 ...
- 2021-03-16
-
- 폐암‧식도암 환자 ‘호흡재활’, 방사선치료 중에도 계속하면 효과
- 장기간 시행해야 하는 방사선 치료 과정에서 폐암, 식도암 환자들이 호흡재활 치료를 지속하면 보다 편하게 숨을 쉴 수 있어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세원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
- 2021-03-15
-
- 인공지능 통해 혈액투석 중 발생하는 저혈압 사전 예측 가능해
- 만성콩팥병 환자에게 시행하는 혈액투석 시 발생 가능한 저혈압 증상을 인공지능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됐다.한승석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팀과 곽노준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
- 2021-03-15
-
- 치료제 없는 재발성 교모세포종, 면역세포치료법 효과
- 치료제가 없는 재발성 교모세포종에서의 면역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됐다. 조경기∙임재준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은 환자의 혈액에서 배양한 NK면역세포치료제 CBT101로 재발성...
- 2021-03-15
- 많이 본 뉴스
-
-
1
국립암센터 및 관련 학회, 45~75세에 10년 주기로 대장내시경 권고
-
2
허미나 건국대병원 교수, 세계병리검사의학연합회 차기회장 선출 … 2029년 임기 시작, 2025년부터는 차기 업무 수…
-
3
우정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바이오 플랫폼 성과 가시화 … 크로스포인트, 동아ST, 카나프 등과 협업
-
4
입센코리아 ‘아이커보정’(엘라피브라노)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PBC) 치료제 국내 승인
-
5
GC녹십자, ISTH 2025서 ‘면역글로불린 혈전’ 연구 발표 … ‘알리글로’ 4~25도서 점도 감소, 혈전색전증 위험서 안…
-
6
휴온스엔, ‘메리트C’ 올리브영 온라인몰 입점 기념 프로모션 … 21일 고함량 3000mg散 할인 판매
-
7
삼성바이오에피스, 美 해로우社와 안과질환 바이오시밀러 2종 미국 위탁판매 파트너십 계약
-
8
폭우 끝나니 말라리아 감염 주의보 … 매개모기 비율 4주 연속 증가세
-
9
항바이러스제(2) … B형간염, C형간염, 에이즈, 인유두종바이러스, 코로나19 치료제 & 인터페론
-
10
국내 자생 참당귀·연교, 미국생약규격집 최초 등재 … 관련 제품 해외수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