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현 고려대 교수, ‘RCI001’의 쇼그렌증후군 치료 효과 입증
-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가 루다큐어의 염증성 안구질환 신약후보물질인 ‘RCI001’의 ‘쇼그렌증후군’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쇼그렌...
- 2024-10-22
-
- 항균 나노코팅으로 장기간 안전한 착용 가능한 콘택트렌즈 개발
- 콘택트렌즈를 더욱 안전하고 오래 착용할 수 있도록 돕는 항균 나노코팅 기술이 개발됐다. 지용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팀(문채은 박사후연구...
- 2024-10-22
-
- 직장암 수술 전 선행 항암·방사선치료가 효과적 … 완전관해 환자 81% 항문보존
- 지금까지 항문에서 가까운 직장암은 수술 전 방사선치료 후 암 종양과 직장을 제거하는 수술을 한 뒤, 인공항문인 장루를 만들고 이후 추가로 항암치료를 하...
- 2024-10-21
-
- 인천성모병원, 말소리장애(조음음운장애) 어린이 AI 음성인식 기반 평가 프로그램 개발
- 장대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재활의학과 교수팀은 말소리장애(조음음운장애) 어린이를 위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음성인식 기반의 평가 프로그...
- 2024-10-18
-
- 이명 동반한 경도인지장애 환자, 측두엽 퇴행과 우울증 발생 확률 높아진다
-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이명이 동반되면 측두엽과 뇌의 청각피질에 베타 아밀로이드가 더 많이 축적돼 측두엽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가능...
- 2024-10-18
-
- 변비약에 쓰이는 ‘차전자피’ 숙취 해소와 간 손상 예방에도 도움
- 변비약으로 사용하는 차전자피(車前子皮, 질경이 씨앗)가 숙취와 간 손상 방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급성 알코올 중독이나 숙취 시에 나타나...
- 2024-10-17
-
-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집속초음파로 뇌척수액의 순환 개선 ‘최초’ 입증
- 뇌는 끊임없이 활동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대사성 노폐물이 쌓인다. 뇌척수액은 혈관을 따라 순환하면서 혈관을 통해 이러한 노폐물을 버린다. 뇌척...
- 2024-10-16
-
- 전기경련요법이 치료저항성 조현병 환자 뇌구조 변화에 기여
- 김민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제1저자 최유진 전공의)은 전기경련요법(Electroconvulsive Therapy, ECT)이 치료 저항성 조현병(treatment-resistant psychotic disord...
- 2024-10-16
-
- B형간염 치료기준 염증 수치서 바이러스 수치로 바꾸면 간암 발생 4만명 줄여
- 만성 B형간염은 간암 원인의 70%를 차지하므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 다행히 간암 발생을 절반가량 줄여주는 안전한 항바이러스제가 나...
- 2024-10-16
-
- 국형돈 한양대병원 교수, 국내 최초 자연 판막 내 바실리카 시술 성공
- 국형돈 한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이 국내 최초로 자연 판막 내 바실리카(BASILICA) 시술에 성공했다. 이번 시술은 경피적 대통맥 판막치환술(Transcatheter Aortic ...
- 2024-10-15
-
- 65세 이상 알츠하이머병 치매, 65세 이전보다 뇌혈관 영향 커
- 65세 이상 고령에서 발병한 알츠하이머 치매(만발성 치매)는 65세 이전에 발병한 치매(조발성 치매)에 비해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등 혈관질환이 상대적으...
- 2024-10-14
-
- 담도암 조기진단에 필요한 두가지 내시경검사법 세계 최초 비교 연구결과 나와
- 담도에 생긴 질환을 검사하는 데에는 경구담도내시경검사(peroral cholangioscopy, POC)와 내시경 초음파(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가 동원된다. EUS 검사는 병변의 국...
- 2024-10-14
-
- 서울대병원, 소아 악성 뇌종양 수모세포종 바이오마커 ‘TKT’ 발굴
- 소아 악성 뇌종양인 수모세포종의 진단 정확도를 높일 가능성이 제시됐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뇌척수액 분석을 통해 수모세포종 환자군의 ‘TKT 단백질’ ...
- 2024-10-11
-
- 서경석 서울대병원 교수, 단일 수술자로 순수 복강경 간이식 500례 돌파
- 서경석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교수가 단일 수술자로서 순수 복강경 기증자 간 절제 이식술 500례를 돌파했다. 단일 외과의사로서 세계적으로도 드문 성과다. ...
- 2024-10-10
-
- 두개골 조기 유합증, 매일 1mm씩 늘리는 장치로 안전하게 치료
- 태어난 지 5개월이 된 아기 민지(가명) 부모는 민지를 볼 때면 왼쪽보다 오른쪽 머리가 더 튀어나온 안면비대칭을 심하게 느꼈다. 한 방향으로만 눕혀 놓아 머...
- 2024-10-10
-
- 음식 잘 못 씹는 ‘정상압수두증’ 환자, 인지기능 저하 두드러져
- ’정상압 수두증‘은 치매는 아닌데 뇌척수액의 불균형(재흡수의 억제 또는 과잉생산)으로 인해 인지기능 저하, 보행장애, 요실금 등의 치매와 유사한 ...
- 2024-10-10
-
- BRCA1/2 변이 보유 고위험군, 저위험군 비해 반대편 유방암 발생 위험 7.3배 높아
-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BRCA1 및 BRCA2(BRCA1/2)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유방암 환자에서도 대측 유방암(contralateral breast cancer, CBC), 즉 반대편 유방암이 발생할 위험...
- 2024-10-08
-
-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 아목시실린 2회→4회 분할 투여하고, 비스무스 추가(4제)하면 효과 상승
- 한국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자에게 비스무스(Biamuth) 약제를 1차 제균치료부터 투약하면 성공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준형 순천향대 서...
-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