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야모야병 수술 후 과관류증후군 발생 환자, 뇌 자동조절 기능 낮아
- 과관류증후군은 모야모야병으로 수술한 성인 환자 10명 중 3~5명이 겪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뇌혈류량이 갑작스럽게 변화해 일시적인 두통·경련·신...
- 2025-06-17
-
- 가톨릭중앙의료원, 유전자가위 기술로 RNA 편집 … 신경계 난치병 치료 도전
- 김영광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 교수(의대 병리학교실) 연구팀은 ‘차세대 RNA 유전자편집 기술’ 개발 과제...
- 2025-06-16
-
- 서울성모병원, 다발골수종 치료성적 발표 … 12년간 장기분석 결과 중앙생존기간 80개월
-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이 지난 12년간 치료받은 다발골수종 환자 1,291명의 생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중앙 생존기간이 80.5개월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이...
- 2025-06-16
-
- 여의도성모병원, 위암 병기 결정에 新 역동적 CT 진단이 정확도 제고
- 정동진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영상의학과 교수팀(정대영 소화기내과 교수)은 위암의 정확한 병기 결정을 위한 새로운 CT 진단법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 2025-06-16
-
- BRCA1/2 유전자 변이 유방암 환자, 유방보존치료 충분히 효과
- BRCA1/2 유전자 변이 유방암 환자에게서 유방보존치료(유방보존수술+방사선치료)가 유방전절제술과 비교해 치료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장희 ...
- 2025-06-16
-
- “게임하면 사회성 능력 향상”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사회적의사소통장애 치료효과
- 모바일게임 기반 디지털 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또는 사회적의사소통장애(SCD)를 가진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숙 ...
- 2025-06-16
-
- 발치 전 골다공증 치료제 중단 길수록 턱뼈 괴사 위험 낮아
- 공성혜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이효정 치과 교수팀은 골다공증 치료제의 투여 시점과 치아 발치 간의 간격이 길수록 약물 관련 턱뼈 괴사(MRONJ) ...
- 2025-06-16
-
- 암생존자 심근경색·뇌졸중 발병, 코로나19 전후로 달라졌다.
- 초미세먼지 노출이 암 생존자의 심혈관질환 발생을 높이지만, 외출량이 줄어들고 마스크를 착용했던 코로나19 기간에는 미세먼지 노출과 암 생존자의 심혈관...
- 2025-06-13
-
- 세브란스병원, 아토피피부염 면역치료 효과 매개하는 세포 규명
- 아토피피부염에 시행하는 면역치료 효과를 불러오는 세포와 그 과정이 밝혀졌다. 박창욱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박중원 알레르기내과, 손명현 소아호...
- 2025-06-13
-
- “정신과 약 먹으면 살찐다?” … AI가 예측해 예방한다
- 우울증 등 정신질환 치료를 위해 약물을 복용하다 보면 부작용으로 체중이 늘어나는 경우가 많다. 전 세계적으로 조현병, 조울증, 우울증 같은 중증 정신질환...
- 2025-06-12
-
- 강남세브란스병원 ‘알츠하이머병’ 완벽 감별, 족집게 물질 찾았다
- 최근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들이 속속 승인받으며 치료에 대한 불씨를 살리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 질환으로 발현되는 특성상 증상만으로 치매 종류를 감별하...
- 2025-06-12
-
- 팔꿈치 인공관절 재수술, 첫수술보다 어렵지만 환자만족도는 오히려 높아
- 팔꿈치 인공관절 치환술(Total Elbow Arthroplasty, TEA)은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외상 등으로 팔꿈치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된 환자에게 시행하는 치료법이다. 팔꿈치...
- 2025-06-11
-
- 지방간질환 있으면 돌발성 난청 발병률 높아져
- 대사이상지방간질환(MASLD) 진단 환자에서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SSNHL)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강은석 고려대 의대 의료정보학교실 ...
- 2025-06-11
-
- 췌장암 신약 치료효과, 미니장기 ‘오가노이드’로 약물반응 예측 정확도 높여
- 성능을 개선한 ‘오가노이드’를 통해 더욱 정확한 약물 효과 예측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방승민·임가람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
- 2025-06-11
-
- 음주문제와 정신장애, 같은 유전자 공유한다 … 독립 질환 아닌 유전적으로 연결된 복합질환
- 명우재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원홍희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교수, 안예은 연구원, 김재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강사)이 음주 문...
- 2025-06-11
-
- 스텐트시술 후 1년 내 암 진단, 초기 암에 출혈관리 가능하면 한달 내 암수술
- 심장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고 1년도 안 되어 암을 진단받으면 수술은 언제 해야 할까. 기존에는 스텐트 시술 직후 출혈 위험이 커서 최소 6개월에서 1년 뒤...
- 2025-06-10
-
- 위암 환자,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RAS)’ 받으면 회복 빨라지고 통증 줄어
-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복강경 또는 로봇을 이용한 위암 수술 환자에게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을 적용한 결과, 수술 후 ...
- 2025-06-10
-
- 정제훈 순천향대 부천병원 교수, 골다공증 개선 프로바이오틱스 복합균주 개발
- 정제훈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이 골다공증 개선에 효과적인 프로바이오틱스 복합균주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과 뼈 ...
- 202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