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다른 다이어트 성분과 함께 건기식 생산 금지
  • 유종현 기자
  • 등록 2025-07-23 14:44:20
기사수정
  •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기준 강화 … 가르시니아, 어린이·임산부·수유부 섭취 피해야
  • 구연산아연과 당산제이철 등은 건기식에 첨가 허용 … 유단백가수분해물 심사 없이 사용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다이어트 보조제로 널리 쓰이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에 대해 기준·규격을 강화한다. 녹차추출물 등 다른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와 함께 섭취할 경우 이상사례 발생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서 혼합 사용을 금지키로 했다.

   

식약처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개정안은 기능성 원료 재평가 결과를 반영해 제조·섭취 시 주의사항을 신설하고, 국제기준에 맞춰 건강기능식품 제조 시 사용할 수 있는 원료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행정예고 기간은 이날부터 9월 22일까지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열매 /알리바바 건강기능식품 코너 캡처

대표적인 다이어트 기능성 원료로 알려진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은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억제해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기능이 있다.

   

하지만 식약처는 최근 재평가 결과, 다른 체지방 감소 원료와 함께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가르시니아 추출물로 제품을 제조할 때 다른 체지방 감소 기능성을 가진 원료와 혼합 제조를 금지하도록 기준을 개정했다. 또 해당 제품에 ‘체지방 감소 기능의 건강기능식품과 함께 섭취하지 말 것’이라는 주의 문구를 추가하도록 했다.

   

어린이·임산부·수유부는 섭취를 피할 것, 이상사례 발생 시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할 것 등 섭취 시 주의사항도 한층 강화된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인도 남서부,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에서 자생하는 클루시아과 열대식물로  예전 학명은 Garcinia cambogia이며 현재는  Garcinia gummi-gutta로 변경됐다. 체내 지방 생성을 억제해 체중감량을 유도하거나 뇌에서 세로토닌 분비를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기능 성분(hydroxycitric acid, HCA)이 껍질에 들어 있다. 간독성이 있다거나 체중감량 효과가 미미하다는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이번 개정안은 영양성분 원료 기준 개선도 포함하고 있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등에서 허용하고 있는 ‘구연산아연(Zinc Citrate)’과 ‘당산제이철(Ferric Saccharate)’을 국내에서도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제조사의 선택 폭을 넓혔다.

   

기존에는 개별인정형으로만 허용됐던 유단백가수분해물의 ‘수면의 질 개선’ 기능성을 고시형으로 전환해 모든 제조업체가 별도 심사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지금까지는 해당 기능을 표시하려면 개별 업체가 식약처에 안전성과 기능성 자료를 제출해 따로 인정을 받아야 했지만, 이번 고시형 전환으로 인해 수면 관련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입 장벽이 대폭 완화된 셈이다.

   

이밖에 ‘알로에겔’ 제품에는 전분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요오드 전분 반응(음성) 항목이 신설된다. 알로에 베라의 잎으로 만든 겔에는 총 다당체 함량 기준이 적용되고 있지만, 가격이 낮은 전분을 혼합해 규격을 충족하는 사례가 보고되면서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두이소플라본의 일일섭취량 상향(2427㎎→ 3745㎎) 및 남성 과다섭취 주의, 레시틴의 원재료에서 난황 삭제, 헤마토코쿠스의 일일섭취량 하향(412㎎→ 612㎎), 뮤코다당·단백의 원재료 축소(소·양 등 제외) 등 다양한 기능성 원료의 기준과 주의사항이 함께 조정된다.

   

식약처는 “국민의 건강 보호와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계의 합리적 요구를 동시에 반영하는 제도 개선을 지속해 나가겠다”며 “이번 개정은 안전한 건강기능식품 소비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산업계의 제조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규제 개선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